메뉴 상세보기

환경교육용어사전

게시판 검색
자원교육(자원절약,분리배출,자원재활용교육)
resource education,recycling education,4R education
자원교육은 쾌적한 지구환경을 보존하기 위하여 자원을 적절히 이용하고, 사용기간을 늘리며, 이미 사용한 자원도 효율적으로 재활용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교육을 말한다. 최근에는 자원순환형 사회의 실현을 위해 자원의 가치를 향상시키는 업사이클링과 같은 새로운 시각도 자원교육에 활용되고 있다.
자연체험교육
nature experiential education
자연체험교육은 주로 오감을 통한 자연과의 직접적 체험을 바탕으로 동료들과 함께 자연에 대해 배우고 즐기고 나누는 것뿐만 아니라 이런 체험과정을 바탕으로 자기 자신을 발견하고 이해하고 실현해 가도록 돕는 과정을 말한다. 특히 환경교육의 토대로서 유아기와 아동기에 강조된다.
생활환경교육,공해교육,오염교육
environmental pollution education
생활환경교육은 학습자가 경험하는 환경의 범위로 일상생활공간을 강조하고 환경문제의 원인으로서 일상생활에서의 선택과 실천행동에 주목하는 환경교육의 한 영역이다. 공해교육은 초기의 환경교육 개념에 바탕으로 두고 있으며 환경문제가 공기와 물 등 공공재의 오염이나 고갈을 통해 발생하고 불특정 다수에게 피해를 준다는 점에 주목하는 환경교육의 한 부분이다. 오염교육은 환경문제가 발생하는 양상 중에서 오염물질의 발생, 증가, 축적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에 주목하는 환경교육의 한 부분이다.
환경커뮤니케이션
environmental communication
환경교육과 환경해설, 환경커뮤니케이션은 때로는 중첩되고 때로는 서로 긴밀하게 연결된 분야이다. ‘넓은 의미의 환경교육’은 환경해설과 환경커뮤니케이션을 포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는 환경커뮤니케이션을 ‘좁은 의미의 환경교육’과 비교하여 그 의미를 구체화한다. 환경커뮤니케이션은 “환경 캠페인, 환경 미디어, 환경 마케팅, 환경의사결정 등 환경에 관한 의소소통이나 의사소통이 환경이나 인간-환경 관계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는 분야로 특정 대상의 환경 인식 증진, 환경 행동 변화 등 구체적인 목적을 중심으로 핵심 메시지를 구성하는 환경교육의 전략적 방식”으로 볼 수 있다.
환경해설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환경교육과 환경해설, 환경커뮤니케이션은 때로는 중첩되고 때로는 서로 긴밀하게 연결된 분야이다. ‘넓은 의미의 환경교육’은 환경해설과 환경커뮤니케이션을 포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는 환경해설을 ‘좁은 의미의 환경교육(environmental education)’과 비교하여 그 의미를 구체화한다. 환경해설은 “직접적인 체험이 가능한 상황에서, 다양한 감각을 이용하고, 특정한 곳에서 장소 중심적으로 이루어지는 환경교육의 한 방식으로 조각의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치지 않고 인지적, 감성적, 오락적 측면을 고려하여 실체에 내재된 함축적 의미와 상호관계를 밝히는 교육 활동”으로 볼 수 있다.
과학중심 융합교육:STS/STSE/STEAM
Science centered integrative education:Science,Technology and Society/Science-Technology,Society-Environment/Science,Technology,Engineering,Arts&Mathematics
STS 교육은 학습자 중심의 실생활 관련 주제에 대한 학습을 통해 학생이 자신이 살고 있는 자연 세계(과학), 인위적 세계(기술), 사회적 세계(사회)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STSE는 다양한 환경문제들을 다루기 위해서는 과학기술의 학문적 접근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오히려 경제·사회 및 철학·윤리학의 학문적 접근이 더 필요하다. 과학기술이 사회와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 과정에서 파생된 사회 문제의 대부분이 환경문제인 것으로 드러나자 과학-기술-사회-환경 STSE교육이 강조되었다. 창의적인 과학기술인재를 육성하고자 추진되는 STEAM 교육은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 Mathematics의 약칭으로 과학, 기술, 공학, 예술, 수학 교과 간의 통합적인 교육 방식을 의미하는데 환경교육은 STEAM 프로그램의 활용을 통해 학생들의 흥미와 융합적 사고를 함께 이끌어 낼 수 있는 중요한 방법적 측면으로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지속가능발전교육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은 지속가능발전의 가치를 교육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활동이다. 유엔에서는 2005년부터 2014년까지 지속가능발전교육 10년(Decade of ESD)을 지정, 운영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확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환경교육,생태교육,자연교육
environmental education,ecological education and nature education
환경교육, 생태교육, 자연교육은 인간과 자연 사이의 관계를 다룬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으나, 좁은 의미로 볼 때 환경교육은 환경문제가 심각해지면서 그 예방과 해결을 위해 수단으로서 행동의 변화에 초점을, 생태교육은 생태중심주의적 사상이나 이념을 바탕으로 하는 세계관의 변화에 초점을, 도시화와 함께 자연과 멀어진 상황에 대한 반작용으로서 체험을 통한 태도와 감수성의 변화에 초점을 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환경교육의 목적과 목표
goals and objectiv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환경교육의 목적은 크게 내재적 목표와 도구적 목표로 나뉠 수 있다. 내재적 목표는 환경학습을 통해 학습자가 지속가능하고 좋은 삶을 살면서 자기를 실현하는데 필요한 능능력과 의지를 갖도록 돕는 것으로서, 개인적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에 비해 도구적 목표는 환경문제를 해결 또는 예방하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이루는 것으로서 이를 실현하는 데 필요한 소양을 갖춘 시민을 양성하는 것이다.
환경교육의 정의
defini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환경교육이란 자신과 환경의 관계에 대한 통찰을 바탕으로, 학습자가 자신의 잠재성을 실현하면서 지속가능하고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동시에 지속가능하고 조화로운 사회를 구현하는 과정에 참여하는 데 필요한 의지와 역량을 갖추도록 돕는 일련의 교육적 활동이다.
환경지혜,전통생태지식
environmental wisdom,traditional ecological knowledge
전통생태지식은 지역 자원에 직접적으로 의존하는 전통 사회에서 오랜 세월에 걸쳐 생성되고 전해져 오는 환경과 생물 사이의 관계에 대한 신념, 지식, 실천을 말한다. 전통생태지식은 지역사회의 상황과 맥락을 반영하여 전수되어 왔으며 지역 주민들의 영적·문화적·도덕적 가치를 포함하고 있다. 전통생태지식에는 인간과 자연의 조화로운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한 옛사람들의 환경 지혜가 녹아있다.
환경학,생태학,환경과학
environmental studies,ecology,environmental science
환경과학(environmental science)은 환경과 환경문제에 대해 체계적으로 탐구하는 학문이며, 환경문제에 대한 이해와 해결을 추구하는 자연과학적 탐구와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법적, 제도적, 정책적 대책도 포함하는 학제적 학문 영역이다. 생태학(ecology)은 생물과 생물 사이의 관계 및 생물과 비생물 환경과의 관계를 탐구하는 학문이며, 환경학(environmental studies)은 환경과학(environmental science)을 포함하되 인문, 사회과학에서의 다양한 환경 탐구까지 포함하여, 환경에 대한 ‘다학문적’ 다학문적 접근(multidisplinary approach)이란 어떤 주제(예를 들어 환경)에 대해 여러 학문적 관점에서 이 주제를 탐구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수질오염이나 기후변화 문제에 대해 화학적으로, 생물학적으로, 경제학적으로, 법학적으로, 또는 공학적으로 각 학문의 관점으로 탐구하는 것을 말한다. 보다 엄밀하게 다학문적 접근을 말할 때는 이렇게 각 학문의 관점을 유지하며 탐구하여 집합적으로 모인 접근 방식이 다학문적 접근이다. 이에 비해 간학문적 접근(interdisplinary approach)이라 함은 어떤 주제에 대해 여러 학문적 관점으로 탐구하되 각 학문적 관점이 경계가 약해지고 융합되어 그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고자 하는 접근이다. 접근을 말한다. 환경교육의 모학문은 환경에 대한 모든 학문 관점의 종합적인 탐구인 ‘환경학’에 바탕을 둘 필요가 있다.
환경론:근본생태주의,사회생태주의,생태여성주의
environmentalism:deep ecology,social ecology,eco-feminism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철학적·윤리적 반성이 싹트면서 환경에 관한 이데올로기인 환경론이 등장했다. 현대의 환경론은 환경문제의 근본 원인에 대한 고유한 진단을 바탕으로 근본생태주의, 사회생태주의, 생태여성주의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들은 서로 다른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환경교육의 의미도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
환경윤리:인간중심주의,감각중심주의,생명중심주의,생태중심주의
environmental ethics:anthropocentrism,pathocentrism,biocentrism,ecocentrism
환경윤리는 생명윤리와 함께 응용윤리의 한 영역으로서, 인간과 자연(생태계)과의 올바른 관계에 대한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설명으로, 환경윤리학은 자연에 대한 인간의 가치 판단을 탐구하는 학문이다. 환경윤리는 도덕적 고려 대상의 범위에 따라 인간중심주의, 감각중심주의, 생명중심주의, 생태중심주의로 구분할 수 있다.
환경관
environmental perspectives
환경은 일반적으로 어떤 생물 개체나 시스템을 둘러싸고 그것과 영향을 주고받는 모든 것을 가리키며, 전통적으로 환경관은 생태중심주의, 인간중심주의, 개인중심주의로 구분되어 왔다. 그러나 시스템 이론의 발달과 함께 2015 개정 고등학교 환경 교육과정에서와 같이 환경을 ‘생태계와 사회체계의 상호작용 과정과 그 결과로서, 개인의 생존과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모든 것을 가리키는 것으로 개념이 확대되면서 환경관도 함께 변화하고 있다.
환경정의(環境正義)
environmental justice
유엔인권위원회에서는 오염되지 않은 환경에서 살 권리를 인간의 기본권으로 천명하고 있지만 경제적 혹은 사회적으로 약자의 위치에 있다는 이유로 그 기본권을 침해받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이처럼 사회적인 약자와 환경적인 약자가 일치되는 상황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환경정의 개념이 나타났다. 요약하면 사회경제적 불평등이 환경적 불평등으로 확대되는 경우를 환경부정의(environmental injustice)라고 한다.
환경보전과 환경보존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preservation
환경 “보전”과 “보존”은 사전적 의미로는 환경을 잘 보호하고 유지한다는 의미로 큰 차이가 없지만, 생태학 분야에서는 환경을 “보호, 관리하여 이로움을 찾는 의미의 보전”과 환경을 “있는 그대로 유지시킨다는 의미의 보존”으로 구분할 수 있다.
환경운동
environmental movement
자연환경 보호, 유해물질 사용 금지, 생태계 보전, 생태주의 및 환경정의 실현 등을 목표로 하는 사회적 활동이다. 주로 급박하고 단기적인 환경문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나 기업과 달리 시민사회에서 이루어지는 시민들의 자발적인 운동을 가리킬 때가 많지만, 환경문제를 일으키지 않기 위한 우리 사회의 근본적인 변화와 새로운 문명을 지향하는 환경운동도 적지 않다.
환경문제,환경쟁점,환경현상
environmental problems,environmental issues,environmental phenomena
환경문제(environmental problems)는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바람직한 환경의 가치가 훼손되었거나 위협받는 상황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말하는 ‘환경문제’는 환정책기본법이나 환경학에서 구분하는 ‘환경오염’과 ‘환경훼손’을 아우르는 개념으로 인간의 활동에 의해 환경이 오염되거나 훼손되어 바람직한 수준보다 악화된 상황을 폭넓게 의미한다.
환경
environment
‘환경’은 “인간을 비롯한 생물을 둘러싸고 있으면서, 생물이 살아가는데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모든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하지만 환경교육 분야에서 보다 중요한 환경의 개념적 의미는 환경교육 실천에 참여하는 이들이 환경을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달려있다. 한 예로, Sauve(1996)가 제시한 바와 같이 환경교육의 담론과 실천에서 주로 다루어지는 환경의 개념은 ‘자연’, ‘자원’, ‘문제’, ‘삶의 터전’, ‘생물권’, ‘공동체 프로젝트’ 등으로 유형화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의 개념은 환경교육의 다양한 실천 방식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