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세보기

환경교육용어사전

환경운동

용어, 영문
용어 환경운동
영문 environmental movement

일반적인 개념 정의

산업과 과학기술이 발달하면서 사람들의 생활은 편리해졌지만 동시에 새로운 환경오염문제가 발생했다. 환경사건은 점차 심각해졌고, 이를 지켜보던 사람들은 자연보호와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활동을 찾아 나섰다. 뜻이 맞는 사람들이 모여 단체를 만들었다. 이들은 더 많은 시민들에게 환경의 가치를 알리거나 정부나 기업을 감시하고 견제하는 사회적인 활동을 해나갔다. 이들은 권력이나 이윤을 추구하는 대신 인간됨의 가치, 사회적인 공공선을 중시했다. 환경과 생명의 가치와 환경문제의 심각성을 알리기 위해 거리에 나가 캠페인을 벌이거나, 언론에 보도하고, 시민들을 대상으로 교육활동을 펼쳤다. 또 정부의 정책을 모니터링하고 비판하거나 대안을 제시하는 토론회를 열기도 했다. 이런 활동을 하는 조직을 환경NGO(Non-Governmental Organization, 비정부조직) 혹은 환경단체라 하고, 이들을 주축으로 한 시민들의 활동을 환경운동이라고 부른다.

 

환경운동의 세계적 흐름

환경운동의 역사는 환경파괴의 역사와 겹쳐진다. 세계적으로 초기의 환경운동은 자연보호운동이었다. 땅을 정복하고 개척해가는 과정에서 자연파괴가 나타나자 사람들은 자연보호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이다. 가장 오래된 환경단체 중의 하나인 미국의 시에라 클럽(Sierra Club)도 자연보호운동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이 단체의 창시자인 존 뮤어(John Muir)는 한 때 기계발명가를 꿈꾸었다고 한다. 하지만 식물학자이기도 했던 그는 여행하는 동안 자연의 있는 그대로의 가치를 깨닫게 되었다. 1892년 미국에서 금광개발로 서부의 산림지대가 훼손되자, 자연의 경이로움과 아름다움을 알리는 활동을 시작했고 국립공원 설립에 힘썼다. 후세들은 그를 국립공원의 아버지라 부르고 있고, 그의 활동은 자연보호운동의 전설이 되고 있다.

1962년 레이첼 카슨이 쓴 침묵의 봄이 출간되었고 세상은 충격에 빠졌다. 농약이나 살충제로 인한 환경오염이 심각해지면 봄이 와도 새의 지저귐을 더 이상 들을 수 없을 것이라는 한 과학자의 경고는 생태계 파괴와 환경재앙에 대한 경종을 울렸다. 그리고 미국 전역에 환경운동의 바람을 일으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1969년 캘리포니아 주 인근 바다의 기름유출사고가 계기가 되어 1970422일에는 공해방지와 자연보호를 호소하는 지구의 날(Earth day)’ 행사가 열렸다. 많은 사람들이 환경오염 반대운동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환경문제가 다양해질수록 환경운동의 내용과 방식도 다양해졌다. 1980년대 초반에는 환경오염의 피해가 유색인종과 저소득층과 같은 사회적 약자에게 집중되는 것은 공평하지 않다는 환경정의운동이 생져났다. 환경운동은 녹색정치운동으로 발전하기도 했는데, 대표적인 예는 독일의 녹색당 활동이다. 1990년 독일에서는 녹색당을 중심으로 핵발전소를 완전히 폐기하는 결의를 이끌어내기에 이른다. 대표적인 국제 환경단체로는 시에라 클럽(Sierra Club), 그린피스(Greenpeace), 지구의 벗(Friends of Earth) 등이 있다.

 

우리나라의 환경운동

우리나라 환경운동의 성립과 발전에는 1980년대 발생했던 온산병1991낙동강페놀오염사건이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사건을 계기로 일반인들도 환경단체의 활동에 대해 알고 지지하게 되었다. 1980년대 민주화 운동에 참여했던 사람들은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사회변화를 위한 새로운 운동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었다.

그즈음 1992년 브라질에서 리우정상회의(Rio Summit)가 열렸다. 이 회의의 정식명칭은 환경과개발에관한유엔회의(UNCED,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이다. 이 회의에는 전 세계 185개국의 정부 대표단과 정상, 민간단체 등이 참여했고, 지구온난화 방지 협약과 생물다양성 보전 협약 등을 채택했다. 우리나라 환경NGO들도 이 회의에 대거 참여하면서 국제적인 흐름에 눈을 뜨게 되었고, 지구환경보호 활동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이 회의에 참석했던 환경NGO들은 보다 전문적이고 조직적인 환경운동을 전개하기 위해 전국 단위 환경NGO인 환경운동연합을 결성했다.

이후 환경운동연합은 전국 52개 지역조직과 전문기관, 협력기관을 갖는 아시아 최대의 환경단체로 성장하게 된다. 비슷한 시기에 녹색연합과 같은 환경단체들도 성장했다. 뿐만 아니라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여성단체연합, 흥사단, YMCA, YWCA 등 사회 각 분야의 NGO들도 환경문제에 관심을 갖고 시민 환경운동을 펼쳐 나갔다. 그에 따라 시민들의 환경운동에 대한 관심도 점차 높아졌다.

이전까지 환경오염 반대운동은 주창형(advocacy) 환경운동이 주를 이루었지만, 1990년대 후반부터는 시민들의 참여가 많아지면서 생활중심의 환경운동 역시 확대되었다. 먹을거리나 건강을 생각하고 지구를 생각하는 생활 속 실천을 중심으로 친환경적인 생활양식으로 변화시키는 운동이 퍼져나갔다. 자기가 속한 마을이나 지역에서 지속가능한 대안사회의 모습을 만들어가는 운동도 확산되었다. 또한 환경단체에서 어린이와 청소년, 시민들을 대상으로 자연에 나가 잠재되어 있었던 생태적 감수성을 일깨우고 환경의 소중함을 체험하거나 기후변화와 같은 환경위기에 대처하는 방법을 알아가는 교육활동도 활발해졌다. 이런 활동은 환경교육운동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처럼 환경운동의 방식과 영역이 다양해졌고, 분화되거나 연대하는 등 여러 흐름들이 나타나고 있다.

국내의 대표적 환경단체 중에는 환경운동연합(KFEM; Korea Federation For Environmental Movements), 녹색연합(Green Korea), 환경정의(Environmental Justice), 한살림(Hansalim) 등이 있다. 이 밖에도 수많은 환경NGO가 지구촌 곳곳에서 환경과 생명을 지키기 위해 활동하고 있다.

 

유사 개념 비교 설명

환경교육운동은 환경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사회 변화적이며 실천적 성격을 강하게 갖는 교육활동을 말한다(장미정과 윤순진, 2012). 환경교육운동은 환경운동에서 출발하여 환경교육과 결합한 것으로 양면적, 통합적, 초월적 성격을 가지면서 둘 사이 긴장관계 또한 내포하고 있다. 환경교육운동은 교육의 맥락에서는 환경교육으로서의 환경교육운동으로, 운동의 맥락에서는 환경운동으로서의 환경교육운동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교육적 특성이, 후자의 경우 운동적 특성이 좀 더 강조된다(그림 1 참조). 환경교육으로서의 환경교육운동은 사회 환경교육에 속한다. 그런데 사회 환경교육의 주체는 민간단체나 기관, 기업, 정부나 지차체, 언론, 소모임 등 다양하다. 때문에 각각의 주체에 따라 이념적 지평이나 독특한 관점이 드러나는 다양한 형태와 성격을 갖게 된다. 이 가운데 환경교육운동은 주로 민간단체나 소모임, 개인의 교육활동을 통해 이뤄지는 강한 가치지향성을 가지는 교육활동에 해당한다.

환경운동으로서의 환경교육운동은 교육 시민운동에 속한다. 이때 환경교육운동은 환경운동의 한 방식으로 이해된다. 이때의 환경교육운동은 환경운동이나 환경교육의 영역에만 머무르지 않고 삶 자체를 변화시키는 교육 시민운동으로 확장되기도 한다.

그림 1. 교육과 운동의 맥락에서 본 환경교육운동의 위치(장미정, 2011 재구성)

그림 1. 교육과 운동의 맥락에서 본 환경교육운동의 위치(장미정, 2011 재구성)

참고문헌

구도완(1996) 한국의 환경운동의 사회학, 문학과 지성사.

던랩, R. E. . 김동규 역. (1996) 미국의 환경운동사, 백수사.

장미정(2011) 환경운동가의 정체성 변화를 통해 본 환경교육운동가 형성과정: 환경교육운동가의 기억과 구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장미정, 윤순진(2012) 한국 환경교육운동의 형성과정과 정체성,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0(2). 83~103.

최열(2009)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환경운동과 더불어 33, 생각의나무.

한면희(2001) 환경 운동의 이념과 한국 환경NGO의 평가, 환경과생명 통권29(2001 가을), 27~44.

환경교육센터(2014) 한국의 환경교육운동사, 이담북스.

환경교육센터, 김희경, 신지혜, 장미정(2015) 모두를 위한 환경개념사전, 도서출판 한울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