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세보기

환경교육용어사전

환경의사결정교육

용어, 영문
용어 환경의사결정교육
영문 Environmental Decision-making Education

리우 환경 회의에서 환경 의사결정 과정에 주민과 공동체의 참여가 필수적이라는 점을 강조한 이후 환경의사결정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지원도 늘어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는 시민들의 환경 의사결정이 미래 환경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밖에 없다(Gray , 1996). 이제는 더 이상 정부나 기업이 시민을 대신하여 혹은 시민의 의사와 무관하게 환경의 질을 결정하는 시대가 아니기 때문이다.

 

환경의사결정교육의 중요성

환경의사결정교육은 피교육자의 정보 처리 절차와 심리적 과정에 초점을 맞춘 환경교육의 한 부분이다. 환경교육의 효과와 관련하여 의사결정적 접근의 중요성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시민 소양으로서의 의사결정 능력

환경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개선되려면, 정책결정자뿐만 아니라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환경친화적 결정을 내리고 이를 실천에 옮겨야 한다. “어떤 결정이 환경친화적인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그러나 그 정의가 무엇이든 분명한 것은 의사결정자가 환경문제에 대한 지식과 환경지향적 태도와 가치를 가지고 이를 현실 문제에 적용했을 때 비로소 환경친화적 결정이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주변 환경문제에의 관심과 참여 유도

환경의사결정교육의 방법을 적용하면 주변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는 실질적인 환경문제를 교실이나 그 밖의 교육 현장으로 끌어들이기가 쉽다(Jameson, 1975). 주변 지역의 문제를 다룰 경우 학생들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기 쉬우며, 이를 바탕으로 문제 해결 과정에 참여함으로써 확대 학습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환경 갈등의 본질 이해

환경 의사결정은 본질적으로 대안을 개발하고 갈등을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하기 때문에 학생들로 하여금 우리 사회에 다양한 가치와 주장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게 하고, 이런 다양성 속에서 과학적, 경험적 증거에 근거하여 자신의 입장을 계발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Keach, Jr. 1973).

 

 

교육 철학적 원리

Hutchins(1943)지식이 세상의 원리를 알아내고 알아낸 원리를 함께 나누는 능력이라면, 지혜는 그 지식을 활용하여 어떻게 행동할 지를 결정하는 능력이라고 했다. 이 말을 통해 우리는 지식이 현명한 결정에 중요한 요인이라고 사실을 넘어, 많이 안다고 해서 지혜로운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점도 지적하고 있다.

의사결정은 단순히 여러 개의 대안 중에서 하나를 골라내는 기술이 아니며, 가치, 지식, 기술과 복잡하게 영향을 주고받는 심리적 과정이자 그 산물이다. 그리고 결정의 타당성은 단순히 다수결이나 권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의사결정자 (학교 환경교육의 경우 학생 개인이나 집단) 자신의 목표와 가치가 그 결정 속에 얼마나 잘 반영되었는가 그리고 그 결정을 통해 얼마나 잘 실현되었는가에 의해 판단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 전제가 되는 것은 의사결정자가 스스로 자신의 가치와 목표를 구체적이고 분명하게 이해하고 있어야 하며, 의사결정 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환경의사결정교육의 일반 목표

앞에서 밝힌 교육 철학적 원리를 바탕으로 환경의사결정교육의 일반 목표는 아래의 6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가치: 학생들로 하여금 다양한 환경 가치를 구분하고 이를 의사결정 과정에 적용함으로써 자신의 가치를 구체화하고,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발전시킬 수 있게 한다.

지식: 학생들로 하여금 책임 있는 결정에 도달하기 위해 어떤 정보와 지식이 필요한지를 확인하고, 이를 획득하게 위해 필요한 절차와 정보의 출처를 알게 한다.

의사소통: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이 내린 결정에 대해 왜, 어떻게 그런 결정에 도달하게 되었는지 다른 사람에게 설명하고, 토론을 통해 자신의 결정을 변경 혹은 발전시킬 수 있게 한다.

기술: 학생들로 하여금 환경문제에 적용할 수 있는 의사결정 전략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현실 문제에 적용함으로써 전략들의 장단점을 이해하며 활용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비평: 학생들로 하여금 동료가 내린 결정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생산적인 제안을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참여: 학생들로 하여금 의사결정 과정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현실 속에서 어떻게 환경 의사결정이 내려지는지를 관찰하고 비평함으로써 보다 창의적이고 실현가능한 해결 과정을 찾아 낼 수 있게 한다.

지도 원리 및 평가

환경의사결정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할 때 주로 사용하는 접근법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규범적 접근(Normative approach)이고 다른 하나는 서술적 접근(Descriptive approach)이다. 규범적 접근은 먼저 전문가들이 바람직한 결정에 도달하려면 빠짐없이 밟아야 할 절차를 제시하고 학생들로 하여금 이 절차를 따라하도록 유도하는 방식이고 서술적 접근은 학생들이 실재로 결정을 내릴 때 사용하는 방법과 절차를 가능한 자세히 서술하여 이를 토대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방식이다.

학생들과 함께 의사결정 절차를 마련하는 것도 중요한 학습 과정이자 지도 방법이 될 수 있다. 교사는 토의가 원활히 진행되도록 중간에 질문을 던지거나 칭찬을 하는 정도로만 참여하고 자신의 의견이나 느낌을 학생들에게 강요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학생 중에서 사회자를 선정하여 토론을 진행하게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런 과정을 통해 학생들 각자의 장점을 확인하고 서로 다르다는 것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도록 유도할 수 있다.

환경의사결정교육의 효과를 측정하고 프로그램의 향상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될 수 있는데, 크게 공식적 평가와 비공식적 평가로 분유할 수 있다(Baron and Brown, 1991). 다음에서는 이 두 가지 평가 방법과 절차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자. 공식적 평가에는 4단계가 있다. 단계가 높아질수록 평가하는 내용의 복잡성과 구체성도 높아지고 따라서 평가에 소요되는 교사의 정신적, 시간적 노력도 증가한다.

 

1단계 - 재현(Reproduction of course material): 가장 낮의 단계이지만 가장 직접적이고 자주 사용되는 방법은 학생들로 하여금 어떤 방법을 사용하여 결정을 내렸는지 글이나 말로 보고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학생들이 환경의사결정교육 교재의 내용(용어, 개념, 전략 등)을 얼마나 숙지하고 있는지 측정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2단계 - 인지 과정의 이해(Mastery of cognitive processes): 이 방법은 학생들이 수업에서 다루지 않은 새로운 의사결정 문제를 해결하는데 학습한 기법과 전략을 얼마나 효율적이고 적절하게 적용하였는가를 평가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Payne 등이 분류한 7가지 의사결정 전략 가운데 어떤 전략을 사용하였는지, 왜 그 전략을 선택하였으며, 선택한 전략은 적절하게 실행되었는지를 평가한다.

 

3단계 - 가설적 선택의 질(Quality of hypothetical choices): 이 평가 과정에서는 먼저 결정을 내려야 하는 가설적 상황을 설정한다. 그리고 학생들이 주어진 상황 속에서 가능한 대안 중 적절한 결정을 내리는지를 평가한다. 가설 상황에는 관련된 속성의 종류나 중요성에 대한 정보를 주지 않는 경우가 보통이다.

 

4단계 - 실재 결정에 미치는 영향(Effect on real decisions): 환경의사결정교육을 실시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실제 생활에서 환경적으로 보다 바람직한 결정을 내리도록 돕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는 실재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바탕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

 

유사 개념 비교 설명

환경의사결정의 관점에서 환경문제해결과 구분하여 설명하면, 여러 가지 대안 중에서 의사결정자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최선의 대안을 선택하는 것이 환경의사결정이라며,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기존의 대안이 없어서 새로운 대안을 창안해야 하는 것이 환경문제해결이라고 할 수 있다.

 

용례

과거에는 정부의 정책 결정이 개발과 보전이라는 대립적인 상황에서 어느 한쪽을 선택하는 방식의 의사결정이 많았지만, 최근에는 풍력발전소를 건설하는 과정에서 숲을 훼손해도 좋은가 또는 태양광 발전소를 건설하기 위해 폐염전을 이용해도 좋은가와 같이 환경의사결정이 매우 복잡하게 변화하고 있다.

 

참고문헌

Baron, J. & Brown, R. V. (1991) Teaching Decision Making to Adolescents. Hillsdale, New Jersey, USA: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Bergman, S. and Rudman, G. J. (1985) Decision-Making Skills for Middle School Students. Washington, D.C.: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De Jager, H. & Frans Van Der Loo (19xx) Decisionmaking in Environmental Education: Notes from Research in the Dutch NME-VO Project,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33-42.

Gray P., Wiedemann, P.M., Schutz, H., Hallman, W.K., Feldman, D., & Rumer, R. (1996) The Nature and Challenges of Environmental Decision Making: Case Studies for Policy Improvement, Technical Report, NCEDR/96-03. Knoxville, TN: The National Center for Environmental Decision-making Research.

Holt, P. & Ketterman G. (1990) Choices are not child's play: helping your kids make wise decisions. Wheaton, Illinois, USA: Harold Shaw Publishers.

Hutchins, R. M. (1943). Education for Freedom. Baton Rouge: Louisiana State.

Jameson, W. C. (1975) Environment-Oriented Decision-Making Problems for Secondary School.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7(2): 27-31.

Keach Jr., E. T. (1973) How do we get environmental education into the school curriculum.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4(4): 24-26.

Payne, J. W., Bettman, J. R. & Johnson, E. J. (1993) The Adaptive Decision Maker,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Svenson, O. (1979) Procss descriptions of decision making.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23, 86-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