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세보기

환경교육용어사전

우리 공동의 미래(1987)+리우회의,리우선언과 의제21(1992)

용어, 영문
용어 우리 공동의 미래(1987)+리우회의,리우선언과 의제21(1992)
영문 Our Common Future+Rio Conference,Rio Declaration and Agenda 21

우리 공동의 미래 보고서와 지속가능한 발전

지속가능한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이라는 용어는 1987년도에 만들어진 유엔의 환경과 개발에 관한 세계 위원회(World Commiss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WCED)” 에서 발표한 우리 공동의 미래라는 보고서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다. 이 당시 위원회의 위원장이던 노르웨이의 수상 브룬트란트(Bruntland)’의 이름을 따서 브룬트란트 보고서로도 널리 알려진 이 보고서에서, ‘지속 가능한 발전미래 세대가 그들의 필요를 충족시킬 능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현재 세대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발전으로 정의되었다.

 

연결점: 1987년 모스크바 회의

1987년에 구소련의 모스크바에서 UNESCO-UNEP가 개최한 환경교육과 훈련에 관한 국제회의는 환경교육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1977년에 트빌리시에서 권고하였던 41개항의 실천 사항을 검토하고, 1990년대에 실천해야 할 환경교육 및 훈련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환경교육의 전 세계적인 발전이 장기적이고 복잡한 과정이라는 사실을 고려하여, 1990-2000년을 세계 환경교육을 위한 10개년으로 정하며, 1997년에 국제적인 회의를 개최하고, 21세기 초의 실천 계획을 개발한다.

둘째, 환경교육은 의식 변화, 지식 전파와 전수, 습관과 기능 개발, 가치관 함양, 문제해결 능력 및 의사결정 능력을 동시에 키우도록 노력한다.

셋째, 환경교육의 효율화를 위해 각국은 보다 적극적인 관심 아래 투자를 하고, 그 결과로서 교육과정과 교육용 시청각 자료 개발, 교육 요원 훈련, 홍보 전문가 양성을 위한 노력을 기울인다.

넷째, 환경교육을 국가 교육과정과 교사양성 교육과정에 통합시키고, 또한 교육행정가 및 교육 계획 전문가 양성 교육과정에도 포함시킨다.

다섯째, 교육과정 및 자료 또는 매체의 개발과 함께 국가 간, 지역 간 환경교육의 정보교환을 위한 체제를 구축한다. 환경교육과정, 교수?학습 자료 및 기타 정보의 원활한 개발과 공급을 위해 환경교육 정보 센터를 국제 수준, 국가 수준, 지역 수준에서 설립한다. 또한 환경교육의 실습?연구?훈련을 담당하고 있는 기관을 지원하고, 이 기관들의 협동을 조정하는 연결 기구를 설립한다.

 

리우회의와 의제21

1988년 유엔총회는 브룬트란트 보고서에서 권고한 지속가능한 발전의 개념을 유엔 및 각국정부의 기본이념으로 삼을 것을 결의하고 대규모 국제회의를 개최하기로 결정하였다. 이렇게 해서 지구환경의 날 20주년을 기념하여 1992년 브라질 리우 데 자네이로에서 개최된 유엔 환경개발회의(United Nations Conference Environment Development; UNCED)’였다. 리우 회의(Rio Summit) 또는 지구 정상 회의(Earth Summit)199263일부터 614일까지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국제 회의로, 이 회의는 178개국 정부 대표 8,000여 명과 167개국의 7,892개 민간단체 대표 1만여 명, 취재기자 6,000여 명, 대통령·수상 등 국가정상급 인사 115명 등이 참석한 사상 최대 규모의 국제 회의였다.

주요행사로는 각국 의원이 참가한 '의원 대회', 도시환경문제를 의논한 '세계도시회의', 그리고 '국제환경기술박람회', '국제환경언론가대회', '열대식물환경조사회의' 등이 개최되었다. 이 회의에서 지구환경 질서의 기본원칙을 규정한 리우 선언과 환경실천계획인 의제21(Agenda 21)이 채택되는데 이로 인하여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ESSD)’을 구현하기 위한 노력과 더불어 지속 가능한 발전이라는 용어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고 여러 가지 국제 협약이 채택되었다.

 

기후 변화에 관한 협약, 생물 다양성 보호 협약, 삼림 보존 협약의 체결

국가와 인간의 행동 원칙을 천명하는 지구 헌장(리우 환경 선언) 채택

지구 헌장을 구체화한 행동 계획으로서 의제 21(Agenda 21)’ 채택

의제 21’의 수행에 소요되는 자금 조달에 대한 합의

의제 21’을 실현하기 위한 기술 제공 여부와 절차에 관한 합의

환경과 개발을 전담할 국제 기구의 설치에 대한 제도적 합의

 

또한 이 회의의 최대 쟁점사항인 개발도상국(개도국)에 대한 재정지원 및 기술이전 문제를 둘러싸고 선진국과 개도국 간의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하여 4차례에 걸쳐 독일·프랑스·노르웨이·일본 등지에서 세계 각국 정상들과 인사들로 구성된 현인 회의(Wiseman's Meeting)가 개최되어 리우회의의 협상을 위해 노력하였다.

 

참고문헌

최돈형, 손연아, 이미옥, 이성희(2007) 환경교수학습론. 서울과학교육사.

이성희(2010) 한국 학교 환경교육사 연구 : 시기 구분 및 시기별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