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 유엔인간환경회의(스톡홀름 회의)와 인간환경선언 |
---|---|
영문 | UN Conference and Declarationon Human Environment |
■ 유엔인간환경회의의 의미
1972년에 스톡홀름에서 개최된 ‘인류 환경에 관한 유엔 제1차 회의’는 지구 환경 위기에 대한 관심을 촉발시키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그 결과, 유엔은 인간환경선언(Declaration on Human Environment)'을 채택하고, ‘인간 환경에 관한 행동 강령’을 승인하였다. 스톡홀름 회의는 환경문제의 해결에 대한 국제적인 협력의 필요성을 촉구하면서 나아가 학생들과 성인들에 대한 환경교육의 역할이 매우 중요함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1971년에 창립된 북미환경교육학회(North America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 NAAEE)는 스톡홀름 회의의 권고에 따라 1973년에 환경 전문성기관인 유엔 환경 계획(United Nations Environmental Programme; UNEP) 설립, 1975년에는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UNESCO)와 UNEP에 의해 국제 환경교육 프로그램(International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me; IEEP)을 설립하였다. IEEP는 전 세계에 결친 환경교육의 연구경향, 환경교육의 개발연구, 유엔의 환경교육 소식지인 <Connect>를 출판하는 등 다양한 측면으로 환경교육이 발전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였다.
■ 스톡홀름 회의의 주요 논제
스톡홀름 회의의 최초의 공식적인 발의는 1968년 5월 20일 스웨덴 대표단이 유엔 사무총장에게 “인간 환경에 관한 국제 회의 소집 문제”를 건의하면서 시작되었다. 스톡홀름 회의는 1960년대부터 일어나기 시작한 환경보호의 관심에 의해 처음부터 선진국 주도로 추진되었기 때문에 환경영역의 의제에 주로 선진국의 관심사가 반영되었다. 개도국은 스톡홀름 회의에서 선진국이 환경문제를 ‘오염’문제에 국한하여 보려는 데 적대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회의 의장이던 모리스 스트롱은 개도국이 이러한 환경문제에 무관심하다는 것을 파악하고, 환경위기가 점차 산업오염뿐 아니라, 빈곤의 문제와도 관련있음을 강조하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준비회의기간에서 발견된 개도국의 개발의 욕구를 환경에 관한 폭넓은 정의로 이끌어 낼 수 있었다.
113개국 대표가 모인 스톡홀름 회의의 슬로건은 “하나뿐인 지구”(Only One Earth)였다. 스톡홀름 회의에서 내려진 중요한 결정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유엔인간환경선언채택, ‘세계환경의 날’지정?권고를 포함한 인간환경을 위한 행동계획 채택, 유엔환경기구(UNEP)의 창설?권고가 그것이다.
■ 유엔인간환경선언
유엔인간환경선언(Declaration of the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he Human Environment)은 인간환경의 보전과 향상에 대한 공동인식과 일반원칙을 천명한 것이다. 인간환경을 위한 행동계획은 인근 주거환경의 계획과 관리, 천연자원관리의 환경적 측면 고려, 국제적으로 중요한 오염물질의 파악과 규제, 환경교육, 정보?사회문화적 측면의 고려, 개발과 환경 등의 5개 분야에 걸쳐 109개의 활동 권고안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고안 중의 하나로서 유엔인간환경회의 개최일인 6월 5일을 ‘환경의 날’로 지정하여 공공인식 증진을 도모하게끔 하였다. 1973년에 창설된 유엔환경계획기구(UNEP)의 주요기능은 환경분야의 촉매로서 타 국제기구의 지원가능한 사업을 선도하며, 다른 국제기구와 국가 등에 경비 및 기술인력 등을 지원하여 환경보전을 수행하는 보조자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지속가능한 발전이라는 개념은 스톡홀름회의에서 바바라 워드(Barbara Ward)가 처음 썼다고 알려져 있다. 즉, 환경적인 제약을 고려하지 않은 경제개발은 낭비적이고 지속불가능하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체계화된 개념은 아니었으며 산발적으로만 제기되었으나 현재의 환경교육의 방향성을 제기하는데 매우 중요한 회의가 되었다.
■ 참고문헌
권오성(2002) 지속가능발전의 개념 정립과 전략 모색: 경제성장모형 검증을 통한 시사점 연구. 한국조세연구원.
손주용(1993) 국제 환경질서의 협력과 갈등 :스톡홀름 회의와 리오 회의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사득환(2000) 지방정부 재정위기의 요인과 대응. 한국지방자치학회보, 30, 87-109.
이창우(2002) WSSD 이후 한국 지방의제 21의 향후 방향 : WSSD 회의결과를 중심으로. 글로벌 거버넌스와 지방행동 21, 29-32.
대통령자문지속가능발전위원회 http://pcsd.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