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 장소감 |
---|---|
영문 | sense of place |
■ 장소
1970년대 기하학적 공간 개념에 근거한 실증주의 지리학에 대한 비판으로 장소가 강조되었다. 장소는 지구상의 특정한 위치를 가리키는 의미로 사용되며, 주로 물질적 공간이나 배경을 의미한다(권영락과 황만익, 2005). 하지만 동일한 장소에 대해 얘기를 하더라도 사람들의 기억이나 경험에 따라 그 장소에 대한 이미지는 서로 다르다. 공간이 과학적 법칙에 종속되는 보편적이고 추상적인 현상이라면, 장소는 인간의 활동과 의미가 부여되어 주관적으로 규정되는 경험적이며 독특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장소는 물질적 배경 혹은 공간으로서의 객관적 실체와 인간의 경험과 의미라는 주관성이 결합된 개념이다. 따라서 사람들이 장소에 대해 가지는 주관적인 감정은 중요하다.
| 위치로서의 장소 | 장소감으로서의 장소 | 현장으로서의 장소 |
---|---|---|---|
장소를 보는 관점 | 지표상의 특정 지점 | 개인의 주관적 감정 | 사회적 관계가 구성되는 소환경을 의미함 |
강조점 | 지리적 영역 | 사람들이 장소에 대해 가지는 주관적인 감정 | 사람들의 일상적 행동과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환경 |
■ 장소감의 정의와 의의
장소감(sense of place)은 장소에 대한 인간의 정서적 감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간과 장소의 경험이 상호작용을 통해 소속감이나 애착과 같은 정서적 유대가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권영락과 황만익, 2005). 장소는 물리적 특성이나 사물에 뿌리를 두고 있지만, 인간의 의도와 경험을 포함한다(Relph, 2007).
그림 . 장소감의 의미 (Kudryavtsev et al., 2012)
장소감은 장소 애착과 장소 의미로 구분할 수 있다. 장소 애착은 사람과 장소의 유대감과 사람들이 장소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도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장소 애착에는 긍정적인 감정만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부정적인 감정도 있을 수 있다(Manzo, 2005). 장소 의미는 장소에 속한다고 생각하는 상징적 의미를 말한다. 사람들이 그 장소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에 대한 것을 말한다. 장소 의미는 다차원적인 구조이며, 인간의 환경, 사회적 상호작용, 문화, 정치, 경제, 윤리적 관점 등을 반영한다(Ardoin, 2006). 따라서 같은 장소에서 개인들은 각각의 다른 장소 의미를 가질 수 있다.
■ 장소감과 정체성
장소감은 소속감의 정도에 따라서 그 강도가 달라지므로 장소는 개인의 안정감의 근원이 되며, 개인의 자아와 정체성은 장소와 밀접하게 관련 맺으며 형성된다(권정화, 2015). 한 장소를 어떻게 인식하느냐에 따라 그 사람의 정체성이 달라지는 것이다. 개인은 전체로서의 자연이 아니라 개인이 있는 장소에서 자연을 접한다. 따라서 장소감은 자연이나 지구와 연계되어 있음을 인식하는 생태적 자아(ecological self)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권영락, 2005). 생태적 자아를 형성한다는 것은 개인적?집단적 관계에서 근본적인 인식의 변화를 가져오고 친환경적 행동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뜻한다.
■ 장소감과 환경교육
인간은 직접적?간접적으로 장소를 다양한 방식으로 경험하며 경험을 통해 미지의 공간을 친밀한 장소로 바꿔 나간다. 장소에 대한 애착은 그 장소에 대한 깊은 배려와 관심을 통해 책임감과 존중감을 갖게 하고, 장소에 대한 헌신을 가능하게 한다. 즉, 장소에 대한 친밀한 감정적 유대를 바탕으로 환경교육이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환경에 대한 책임있는 환경행동이 가능하다는 것이다(Vaske & Kobrin, 2001; 김현주, 2003).
■ 참고문헌
권영락(2005) 장소기반 환경교육에서 장소감의 발달과 환경의식의 변화: ‘시화호 생명지킴이’ 생태안내자 양성과정을 사례로,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권영락, 황만익(2005) 장소감의 환경교육적 의의, 환경교육 18(2), 55-65.
권정화(2015) 지리교육학 강의노트, 푸른길.
김현주(2003) 장소감과 환경 교육: 환경 감수성으로서의 장소감의 환경 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교육과정평가연구, 6(1), 313-329.
Ardoin, N. M. (2006) Toward an interdisciplinary understanding of place: Lesson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Canadi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CJEE), 11(1), 112-126.
Kudryavtsev, A., Stedman, R. C., & Krasny, M. E. (2012) Sense of place in environmental education.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18(2), 229-250.
Manzo, L. C. (2005) For better or worse: Exploring multiple dimensions of place meaning.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5(1), 67-86.
Relph, E. (2007) On the identity of places, in Urban design reader, ed. M. Carmona and S. Tiesdell. 103-7. Oxford: Architectural Press.
Smith, G. A. (2002) Place-based education. Phi Delta Kappan, 83(8), 584.
Vaske, J. J., & Kobrin, K. C. (2001) Place attachment and environmentally responsible behavior.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32(4), 1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