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세보기

환경교육용어사전

환경교육 프로그램 평가

용어, 영문
용어 환경교육 프로그램 평가
영문 environmental program evaluation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평가

환경교육 프로그램 평가란 환경 교육 프로그램의 설계, 이행 및 결과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을 의미한다. 프로그램의 평가 목적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먼저, 프로젝트 효과성, 타당성 및 효율성을 측정하고, 이러한 결과를 이해관계자들에게 공개하고, 이 정보를 이용해서 의사 결정에 활용하려는 것이다. 두 번째로 프로그램 수행의 규모와 결정 요인에 대한 지식을 체계적으로 생산하여 프로젝트와 전략 설계와 이해에 정보를 제공하고 개선에 기여하고자 한다.

 

환경교육 프로그램 평가의 종류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평가는 프로그램의 전 단계에서 평가 목적에 따라 다각도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크게 평가 목적과 대상에 따라 형성 평가(Formative evaluation)와 총괄 평가(Summative evaluation)로 구분된다.

 

환경교육 프로그램 평가의 종류 단계, 프로그램 시작전, 프로그램 시작, 프로그램 완료, 프로그램 이후 정보 제공

단계

프로그램 시작 전

프로그램 시작

프로그램 완료

프로그램 이후

 

형성=>총괄   

평가 질문

요구는 어느 정도까지 충족시킬 것인가?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계획된 대로 운영되고 있는가?

목표를 달성하고 있는가?

예상했거나 예상하지 못한 영향은?

평가 종류

요구도 측정

(Needs Assessment)

과정/이행 평가(process/implementation Evaluation)

결과물 평가(outcome Evaluation)

영향 평가(Impact Evaluation)

 

형성 평가는 요구도 조사(Needs Assessment)와 이행 평가(Process or Implementation Evaluation)가 있다. 요구도 조사는 프로그램의 적절한 대상을 정하고, 잠재적 참여자들이 어떤 요구가 있는지를 파악하고 이에 부합하는 내용과 형식에 대해서 결정하는 과정이다. 이행 평가는 프로그램이 이행되는 과정을 검토하고 프로그램이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필요한 개선점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여 이를 반영하여 개선하도록 하는 작업이다. 총괄 평가는 원래 계획과 목표를 기준으로 해당 프로그램이나 활동의 효과성을 평가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총괄 평가는 성과 평가(outcomes evaluation)와 영향 평가(impact evaluation)로 구분된다. 성과 평가는 이 프로그램으로 인해서 나타났다고 추정되는 지식, 태도, 기능, 행동 등의 변화나 학습자의 만족도를 측정하고 그러한 변화를 프로그램의 내용이나 목표와 관련지어 판단한다. 영향 평가는 프로그램으로 인해서 나타난 장기적이고 광범위한 변화를 결정하는 과정이다. 영향 평가는 대개 학교나 조직 전체, 사회 또는 환경에 끼친 내용을 파악하고자 한다.

 

환경교육 프로그램 평가 방법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평가 방법은 평가 질문이나 목적에 따라 달라진다. 환경교육 프로그램 평가는 프로그램 참여자의 지식-기능-태도-가치의 변화를 유사 실험 방식으로 입증하는 사례가 주를 이룬다(Zint, 2013). 이러한 실증적 관점의 평가는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입증하려는 목적으로 프로그램 진행 과정에서 관찰가능하고 측정가능한 양적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여 제시한다. 프로그램에 참여자들이 어떠한 요구가 있으며 프로그램에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는지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는 평가는 해석적 관점이다. 주로 참여자들과의 면담과 관찰과 포커스 그룹 면담 등을 통하여 수집한 질적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다.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선하는 데 주된 목적을 두고 있다면 관련 이해당사자들이 가능한 모든 자료를 모아서 함께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공동의 개선 방향을 계획하는 방식으로 평가가 진행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접근은 실행연구와 관련되는 비판적-해방적 관점의 평가이다(Potter, 2006).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평가 도구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평가하기 위한 자료를 수집하는 도구로는 설문지(survey), 척도(scale), 면담(interviews), 포커스 그룹 면담 (focus group interview), 시험(test), 관찰(observations), 문서와 기록 검토(documentation and recording review)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유사 개념 비교 설명

모니터링(monitoring)은 프로그램 진행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관찰과 기록을 의미한다. 정기적으로 지표를 토대로 타깃 목표를 모니터하면서 하나의 프로그램이 만들어낸 변화 과정을 추적하는 과정이다. 사정(assessment)은 다양한 검사 측정 방법을 통하여 학습, 지식, 태도, 입장, 비판적 사고, 성찰성, 또는 행동과 관련된 근거 자료를 측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평가는 프로그램 진행 단계를 구성하는 여러 요소에 대한 사정 결과를 근거로 가치 판단 또는 의사 결정을 한다. 연구와 평가는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지만 그 목적이 다를 수 있다. 연구는 기본적으로 특정한 종류의 지식을 구하고자 하며 평가는 특정 프로그램의 요구에 부합하려고 한다. 연구는 프로그램 평가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평가에서 얻는 결과물은 학문 전체에 기여할 수 있다.

 

참고문헌

NAAEE (2004) nonformal EE Progra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Guidelines for Excellence.

Potter, C. (2006) Program Evaluation. In M. Terre Blanche, K. Durrheim & D. Painter (Eds.), Research in practice: Applied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2nd ed.) (pp. 410-428). Cape Town: UCT Press.

Zint, M. (2013) Advancing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Evaluation: Insights From a Review of Behavioral Outcomes Evaluations. in Stevenson et al.(eds.)(2013)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on Environmental Education. Routledge, pp. 298-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