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세보기

환경교육용어사전

환경교육의 정의

용어, 영문
용어 환경교육의 정의
영문 defini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최초의 환경교육(Environmental Education) 용어 등장

정의(definition)어떤 것을 다른 것과 구분 짓게 하는 속성에 대한 간략 명료한 진술로 정의될 수 있다. 아래에 소개하는 정의들 중에는 목표, 기능, 요소 등을 서술하면서 그것을 정의와 동일시하는 경우가 많다. 특정한 전문 분야로서 환경교육을 정의하기 위한 노력은 대체로 1960년대에 시작되었다(Australia, 1999)

환경교육이라는 용어는 1948년 파리에서 개최된 IUCN 회의에서 토마스 프리차드(Thomas Pritchard)가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의 접목을 위한 교육학적인 접근의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처음 사용했다(Palmer, 1998)고 한다. 이는 용어가 생겨날 때부터 통합적 접근이 환경교육 정체성의 핵심임을 인식하고 있었음을 암시한다.

 

초기의 환경교육 정의들

 

1969, 최초의 학술적 정의: 미국 환경청(EPA, 2002)이 정리한 미국 환경교육사에 따르면, 환경교육을 학술적으로 처음 정의한 사람은 미시간 대학의 스탭 등(Stapp et al., 1969)이다. 그는 1969년 발간된 환경교육 학술지(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창간호에서 환경교육을 생물·물리학적(bio-physical) 환경과 환경문제에 관한 지식을 갖고 있으며, 어떻게 환경문제 해결을 도울 수 있는지 인식하고, 나아가 해결책을 실행할 동기를 가진 시민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정의하였다.

 

1970, 미국의 환경교육법에서의 정의: 197010월 발효된 미국 환경교육법(P.L. 91-516)에 따르면 환경교육은 인구, 보전, 교통, 기술, 도시 및 지역 계획이 전체 인간 환경과 갖는 관계를 포함하여, 인간과 자연 환경 및 인공 환경 사이의 관계를 다루는 교육적 과정이다.

1975, 벨그라드 헌장에서의 정의: 1972년 스톡홀름 회의의 권고안 96을 실현하기 위해 1975년 유고의 베오그라드에서 64개국 약 100여명의 환경교육 전문가가 참석한 가운데 워크샵이 열렸으며, 그 결과로 베오그라드 헌장이 만들어졌다. 이 헌장에서는 환경교육의 목적은 환경과 환경문제를 인식하고 염려하며, 현재의 문제를 해결하고 미래의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개인적으로나 집단적으로 실천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동기를 가지고 헌신할 수 있는 세계 시민을 양성하는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1977, 트리비시 권고문에서의 정의: 베오그라드 헌장에 제시된 환경교육의 목적과 목표는 다시 2년 후인 19771014일부터 26일까지 66개 유네스코 회원국은 물론 비회원국 참석자와 20여 개의 국제환경단체 등 265명의 사절과 65명의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조지아 공화국(Republic of Georgia, 당시 소비에트공화국)의 트비리시(Tbilish)에서 열린 환경교육에 관한 정부간 회의에서 공식화되었다. 트비리시 회의의 결과, 환경교육은 다음과 같이 정의되었다.

 

환경교육은 급속하게 변화하는 세계의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하는 종합적인 평생교육의 일부이다. 환경교육은 사람들로 하여금 현재 이 세계의 중요한 문제들을 이해하고, 삶의 질을 개선하면서 동시에 윤리적 가치를 바탕으로 책임감을 가지고 환경을 보호하는데 있어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능과 태도를 길러줌으로써 삶을 대비하게 해야 한다(UNESCO, 1977, p.24).”

 

환경교육을 정의하는 다른 방식

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환경교육을 정의할 때 환경교육의 목적을 열거하고,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교육이라고 정의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와는 달리, 환경교육의 세 가지 범주 또는 성격을 통해 환경교육을 정의하는 다른 방식도 존재한다. , 환경에 대한 교육, 환경 안에서의 교육, 환경을 위한 교육이 그것이다.

 

환경에 대한 교육: 환경교육의 내용적 측면을 강조하는 범주로서, 환경 또는 환경문제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의 습득에 초점을 맞추며 주로 학교 환경교육에서 진행된다.

 

환경 안에서의 교육: 환경교육의 방법적 측면을 강조하는 범주로서, 환경과의 직접적인 접촉과 체험을 통해 친환경적인 태도나 생태적 감수성의 증진에 초점을 맞추며, 주로 사회 환경교육에서 진행된다.

 

환경을 위한 교육: 환경교육의 목표적 측면을 강조하는 범주로서, 환경의 보전과 개선을 위한 실천과 그 바탕으로서의 환경윤리에 초점을 맞춘다. 친환경적인 태도와 환경보전을 위한 실천은 학교와 사회 환경교육 모두에서 강조된다.

 

유사 개념 비교 설명

환경교육은 흔히 자연교육 또는 생태교육과 교차하여 사용되며, 관련성이 높고 겹치는 부분도 많아서 자주 혼용되고 있다. 환경교육이 환경문제나 쟁점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는 반면, 자연교육은 인간이 만들지 않은 자연 그 자체에 대한 과학적, 체험적 교육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생태교육은 생태학을 바탕으로 자연체험을 포함하면서도 생태중심적 철학과 윤리로 확장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여전히 다양한 관점이 존재한다.

 

참고문헌

최석진 등(1997) 환경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환경부.

최돈형, 남상준, 이재영, 손연아(2001) 2차 환경교육 중?장기 발전 방안. 환경부.

Brundliand, G. H. (1989) Our Common Future: The World Commiss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N.Y.: Oxford University Press.

EPA (2002) What is Environmental Education?

https://www.epa.gov/education/what-environmental-education

UNCED (1992) Agenda 21: Programme of Ac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Rio Declarat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N.Y.: United Nations.

UNESCO-UNEP (1976) The Belgrade Charter. Connect: UNESCO- UNEP Environmental Education Newsletter, 1(1), 1-2.

UNESCO (1978) Final Report lnter-governmental Conference on Environmental Education. Organized by UNESCO in Cooperation with UNEP, Tbilisi, USSR, 14-26 October 1977, Paris: UNESCO ED/MD/49.

UNESCO (1977) 14-26 October). Final Report - Tbilisi. Paper presented at the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on Environmental Education, Tbilisi, Republic of Georgia, p.26-27

Nixon, R.M. (1970) President's Message to the Congress of the United States. In Environmental Quality, the First Annual Report of the Council on Environmental Quality, together with the President's Message to Congress. Washington, D.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S/N 0-389-110. ED 062-109, p.11

Pace, p. (1996) From Belgrade to Bradford - 20 Year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W.L. Fiho, Z. Murphy, & K. O'Loan (Ed.) A Sourcebook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 Practical Review based on the Belgrade Charter. Parthenon Publishing.

Stapp, W.B., et al. (1969)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Educ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1(1), 3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