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 환경 프로젝트 접근법 (환경 프로젝트 학습) |
---|---|
영문 | Environment Project Method/Environment Project Learning |
■ 프로젝트 접근법의 특성
프로젝트 접근법은 협력적 탐구를 통하여 의미 있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 제시하고 결과물을 만들어 공유하는 기회를 갖도록 하는 학습 방법으로 정의한다. 환경 프로젝트 접근법은 주제를 선정하고 주제와 관련된 환경 이슈를 인식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간학문적이며 종합적이고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또한 도출된 해결 방안을 실행하면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사고력, 문제 해결력, 창의력을 기를 수 있게 된다.
■ 프로젝트 접근법의 역사
프로젝트 접근법은 유럽 건축학교에서의 프로젝트 시작(1590~1765), 정기적 교수법으로서의 프로젝트와 미국으로의 전파(1765~1880), 수공 교육 및 일반 공립학교에서의 프로젝트 작업(1880~1915), 프로젝트 접근법의 재 정의와 미국에서 유럽으로의 전파(1915~1965), 프로젝트 아이디어의 재발견과 국제 보급(1965~현재)에 이르는 역사를 가지고 있다(Knoll, 1997).
■ 교육과정에 반영된 환경 프로젝트 학습
우리나라 2009개정 고등학교 환경과 녹색성장 교육과정에서는 환경 프로젝트를 학습 내용으로 도입하고 환경 프로젝트를 통해 환경교육의 정체성이라고 할 수 있는 간학문성과 실천 중심성, 통합성을 구현하고자 하였다(교육과학기술부, 2009). 2015개정 고등학교 환경 교육과정에서는 환경 프로젝트를 핵심 개념으로 도입하여 통합적이고 심층적인 프로젝트 학습이 환경문제와 같이 복잡한 현상을 이해하는 적절한 방법임을 강조하고 있다(교육부, 2015).
주요 내용 | 교사 주도 | 학생 주도 |
---|---|---|
주제 선정 | 교사가 주제 선정 | 학생 스스로 주제 선정 |
프로젝트 계획 수립 | 교사가 계획 수립 | 학생 스스로 계획 수립 |
일정과 진행 속도 결정 | 교사가 일정과 진행 속도 결정 | 학생 스스로 일정과 진행 속도 결정 |
학습 활동 결정 | 교사가 학습 활동 결정 | 학생 스스로 학습 활동 결정 |
산출물 결정 | 교사가 학습 과정 산출물 결정 | 학생 스스로 학습 과정 산출물 결정 |
프로젝트 결과 정리 | 교사가 산출물을 모으고 결과 정리 | 학생 스스로 산출물을 |
프로젝트 발표회 개최 | 교사가 발표회 계획 수립 개최 | 학생 스스로 발표회 계획 수립 개최 |
프로젝트 학습에서는 프로젝트 주제를 선정하고 그 해결 방안을 강구하며 문제를 해결하여 결론을 내리고 그 결과를 발표하는 과정을 거친다. 원칙적으로 프로젝트 학습은 학습자가 처음부터 마지막 단계까지 모든 활동을 주도하면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학교 여건이나 환경에 따라서 모든 활동을 학습자 주도로 하는 것이 어려울 경우에는 교사 주도나 교사와 학생이 적절한 수준에서 주도권을 분담하면서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도 있다.
■ 환경 프로젝트 학습의 절차
환경 프로젝트 학습의 절차는 프로젝트 주제 선정, 프로젝트 계획 수립, 프로젝트 수행, 프로젝트 평가의 단계로 구분할 수 있으며 단계별 내용은 다음과 같다(교육과학기술부, 2015).
첫째, 환경 프로젝트 주제 선정 단계에서는 학습자의 생활 주변, 지역 사회의 환경문제에서 탐색해 보도록 함으로써 자신 주변이나 가까운 지역 사회에는 어떤 환경문제가 존재하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문제를 어떻게 접근하여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모색해 보는 기회가 될 수 있도록 하여 환경 감수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둘째, 환경 프로젝트 수행 계획을 세워 실제 문제를 해결하여야 한다. 같은 주제라고 하여도 그 해결 방법이 다양하고 수준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같은 주제를 단기간 또는 장기간에 걸쳐서 해결할 수도 있다.
셋째, 환경 프로젝트 계획 수립 계획에 의하여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문제 해결 과정에서 계획 수립 시 생각하지 못하였던 다양한 문제와 한계, 어려움에 처할 경우 교사는 그러한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 최소한으로 개입하여 조력자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넷째, 환경 프로젝트 평가 단계는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의 다양한 산출물을 수시로 발표하고 전시하여 자신을 표현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평가받을 기회를 제공하도록 한다.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 나오는 다양한 산출물을 정리하여 포트폴리오 표로 만들어 자신의 수행 과정을 잘 파악해 문제 해결 과정에서 자신의 장단점을 잘 파악하고 스스로 평가할 수 있다.
■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2009).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41호에 따른 고등학교 환경과 녹색성장 교육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
교육부(2015).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고등학교 환경 교육과정. 교육부.
Knoll, M. (1997). The Project Method: Its Vocational Education Origin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Journal of Industrial Teacher Education, 34(3), 5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