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세보기

환경교육용어사전

유엔 지속가능발전교육 10년 (UN DESD,2005-2014)

용어, 영문
용어 유엔 지속가능발전교육 10년 (UN DESD,2005-2014)
영문 UN Decad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UN DESD,DESD

유엔 지속가능발전교육10년 관련 용어

유엔 지속가능발전교육과 관련된 용어로는 지속가능발전(SD), 지속가능발전교육(ESD), 유엔 지속가능발전교육10(DESD) 등이 있다. 이들은 영문 약어인 SD, ESD, DESD 등으로 지칭되기도 하지만, 약어로 표현되는 경우 그 의미가 숨어버리는 경우가 많아서 좀 길어도 한국어로 길게 지칭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들 용어가 계속적으로 반복되거나 또는 ESD 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지향하는 학교) 등 다른 용어와 사용될 경우에는 영문 약어인 SD, ESD, DESD를 사용하기도 한다.

 

역사와 유래

지속가능한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 SD)이라는 개념은 자연과 공존하면서도 인구 증가와 경제 성장 속에 파생되는 전 지구적인 문제를 해결하여 풍요로운 삶을 누리고자 하는 의지에서 비롯되었다. 1972년 유엔인간환경회의(UNCHE, 스톡홀름) 이후 국제 사회는 환경과, 사회?경제적 쟁점인 빈곤과 저개발 간의 상호관계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을 인식하게 되었다. 1980년대에는 환경에 대한 우려 및 자연에 대한 '청지기 정신(stewardship)’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사회경제적 진보간의 균형이 필요하다는 자각이 늘어나면서 '지속가능한 발전'이라는 개념이 등장하게 되었다(이선경외, 2005).

이 용어가 공식적으로 국제사회에 널리 알려진 것은 1987년 유엔이 구성한 세계환경개발위원회(World Commiss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WCED)우리 공동의 미래(Our Common Future)’를 통해서이다. 일명 브룬트란트 보고서라고 불리는 이 문서에서는 지속가능한 발전(이하 지속가능발전과 병용)미래 세대가 자신들의 필요를 충족시킬 능력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현 세대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방식으로 소개하였다(WCED, 1987). 이 지속가능발전 개념은 여러 논의를 거치면서 끊임없이 변화하였으나 중요한 두 가지 축은 지속가능성과 형평성이라고 할 수 있다(Fien & Tilbury, 2002). 각 나라와 지역은 지속가능발전 개념의 형성과정이 갖는 역사적 의미를 고려하면서 자신의 상황에 맞게 해석하여 적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속가능발전은 미래 세대에 대한 고려로 이해할 수 있고, 환경 쟁점과 사회경제적 쟁점에 대한 고려를 연결하려는 시도로도 볼 수 있다(Thaman, 2002).

지속가능발전을 성취하기 위한 교육의 역할에 대한 강조는 1972년 스톡홀름 유엔인간환경회의(UNCHE, 1972)에서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 교육의 역할이 중요함을 인식한 이래 여러 국제회의를 통해 이루어졌다. 지속가능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사고방식과 실천의 변화가 지구적으로 나타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1992년 브라질 리우에서 열린 유엔환경개발회의(UNCED)는 지구가 당면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발전(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ESSD)’의 개념을 제시하였고, 이의 실천을 위한 실행 전략이라고 할 수 있는 의제21(Agenda21)을 채택하였다.

의제2136장에서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해 교육, 대중 인식, 훈련 등을 증진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이후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10년이 지정되어 전 세계적으로 노력과 실천이 이루어졌다(2005-2014). 여기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은 "모든 사람들이 질 높은 교육의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와 사회 변혁을 위해 필요한 가치, 행동, 삶의 방식을 배울 수 있는 사회를 지향하는 교육"으로 정의되었다(UNESCO, 2004).

유엔 지속가능발전교육10년이 종료된 후 유네스코에서는 그 후속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국제실천프로그램(Global Action Programme for ESD, GAP)을 지정하여 정책, 전기관적 접근, 교육자, 청년, 지역 등의 우선 순위 영역을 중심으로 확산을 꾀하고 있다(UNESCO, 2014b; 이선경 외, 2014).

 

유엔 지속가능발전교육10년의 목표와 성과

유엔 지속가능발전교육10년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UNESCO, 2006): 지속가능발전을 추구함에 있어 교육과 학습에 핵심적인 역할을 부여한다,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이해당사자 사이에 연계, 네트워크, 교류, 상호작용을 촉진한다, 지속가능발전에 관한 비전을 형성하고 사회적 전이를 촉진하기 위해 모든 유형의 교육을 통해 학습 기회를 제공한다, 지속가능발전교육에 있어 교수?학습의 질을 높이도록 장려한다, 지속가능발전교육에 필요한 역량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전략을 개발한다.

유엔 지속가능발전교육 10년의 마지막 해인 2014년 나고야에서 개최된 유네스코 지속가능발전교육 세계 대회에서는 그간 이루어진 평가(Wals, 2009; Wals, 2012; UNESCO 2014)를 통해 10년 동안 지속가능발전교육이 지속가능발전을 가능하게 하며,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이해관계자들의 참여의 중요성이 확인되었음을 보고 하였다. 또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이 모든 수준과 모든 영역의 교육에 걸쳐 확산되었으며, 때로는 교육 개혁을 가능하게 하였다고 보고하였다(UNESCO, 2014a).

 

유사 개념 비교 설명

맥락에 따라 지속가능발전교육과 환경교육의 관계에 대한 논쟁과 지속가능발전교육10(UN DESD, 2005-2014)과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와의 관련성에 대한 구분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지속가능발전교육과 환경교육과의 관계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이 환경교육을 포함하는 경우(ESD>EE), 환경교육이 지속가능발전교육을 포함하는 경우(EE>ESD), 환경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이 서로 공유하는 부분이 있는 경우(EEESD), 환경교육이 진화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이 된 경우 등으로 구분된다(Hesselink et al., 2000). 또한 환경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이 동일시되거나 환경교육이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지지하는 것으로 설명되는 등 다양한 관계 설정도 이루어진다(Eilam & Trop, 2011).

지속가능발전교육10(UN DESD)과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서의 논쟁의 핵심은 지속가능발전교육10년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이 어떻게 차별화될 수 있는 것인지에 관련된 것이다. DESD에서는 좀 더 많은 부분이 교육을 중심으로 설명되고 있고 선도 기관으로 지정되었던 유네스코를 중심으로 많은 부분의 수행이 이루어졌고, SDGs에서는 4번째 목표로서 양질의 교육(Quality Education)이 강조되고 있고, 지속가능발전을 성취하기 위한 이행 수단 형태로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모두에서 본질적으로 교육을 통해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고자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서로 같은 지향점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이선경, 김남수, 김찬국, 주형선, 황세영, 김인성, 백승현, 이재영, 장미정, 정수정, 정원영, 조우진(2014) 한국의 유엔 지속가능발전교육10.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이선경, 이재영, 이순철, 이유진, 민경석, 심숙경, 김남수, 하경환(2005) 유엔 지속가능발전교육10년을 위한 국가 추진 전략 개발 연구. 대통령자문지속가능발전위원회.

Eilam, E. & Trop, T. (2011) Methodology for Evaluating the Influence of Schools’ Sustainability Education Programs on Their Communities. Learning and Teaching, 4(2), 37-64.

Fien, J. & Tilbury, D. (2002) The Global Challenge of Sustainability. In D. Tilbury., R. B. Stevenson, J. Fien & D. Schreuder (eds.) Education and Sustainability: Responding to the Global Challenge. Cambraidge. UK. IUCN. pp 1-13.

Hesselink, F., van Kempen, P., & Wals, A. (2000) ESDebate; International Debate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Cambraidge. UK. IUCN.

Thaman, K.H. (2002) Shifting sights: The cultural challenge of sustainability. Higher Education Policy, 15, 133-142.

UNESCO (2004) United Nations Decad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005-1014: Draft International Implementation Scheme, UNESCO, Paris.

UNESCO (2014a) Shaping the Future We Want. UNESCO.

UNESCO (2014b) UNESCO Roadmap for Implementing the Global Action Programme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UNESCO.

Wals, A. (2009) United Nations Decad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DESD, 2005-2014): Review of Contexts and Structures fo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UNESCO.

Wals, A. (2012) Shaping Education of Tomorrow. UNESCO.

WCED (1987) Our common Future. Oxford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