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세보기

환경교육용어사전

자기환경화

용어, 영문
용어 자기환경화
영문 personalization of environment

 

자기환경화(personalization of environment)의 개념

자기환경화는 비자기환경을 자기환경으로 인식하고 본능적이고 적극적인 행동을 나타내는 것을 지칭한다. , 비자기환경을 자기환경으로 인식하여 비자기환경에 대한 반응 행동이 인지적이고 당위적인 반응이 아니라 스스로 동기화되고 본능행동화 되어 저절로 행동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는 환경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환경이 주는 쾌감, 불쾌감, 혹은 위기감과 같은 감정적인 경험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인식이 반응행동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이러한 감정적인 동기화가 필요하기 때문이다(이선경, 1993).

 

자기환경화의 개념

자기환경화의 개념

  

ES: 자기환경, EN: 비자기 환경

AP: 관심 AN: 무관심,

RP: 적극적인 반응, RN: 무반응 혹은 소극적인 반응,

SE: 자기환경화, 비자기환경을 자기환경으로 인식하는 과정,

NSE: 자기환경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지 않거나 자기환경화된 것이 소멸되어 다시 원상태의 환경 인식으로 돌아가는 것, 자기환경화가 완결되지 않은 경우에 일어난다.

AE: 자기환경화에 의한 관심의 변화, 비자기환경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게 되는 것,

NAE: 자기환경에 대해서도 무관심을 보이거나 자기환경화에 대한 관심의 변화가 소멸되어 다시 원상태로 돌아가는 것

 

자기환경화를 통한 환경교육 전략 : 자기환경화를 달성하기 위한 환경교육 전략을 자기환경화 전략이라고 하며, 환경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한 감정적 체험이 본능행동화될 수 있도록 하는 환경교육의 방법을 지칭한다. 이를 위해서는 자기환경화 전략에서는

환경에 대한 구체적이고 다양한 감정적 경험의 과정을 포함해야 하고, 이를 위해 현장을 이용하며,

환경에 대한 쾌감이나 불쾌감 등과 연관된 본능적 반응의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자기환경화 전략을 이용한 환경교육에서는

실제 활동을 통한, 환경에 대한 능동적 심체적 반응의 과정, , 능동적 행동을 포함하고,

토론 등과 같은 환경에 대한 내면화 반응의 과정을 포함한다(이선경과 장남기, 1993).

 

유래와 관련 연구

자기환경화에 대한 개념과 자기환경화를 통한 환경교육 전략은 이선경(1993a)에서 주장되었다. 초기 박사학위 논문에서는 자기환경화의 이론적 배경으로 대뇌의 변연계의 역할과 반응 특성과 같은 생리심리학적인 배경이 사용되었다. 이후 일부 연구자들에 의해 자기환경화와 관련된 논의가 이루어졌고(김인호와 김귀곤, 1998; 이선경외, 1998; 곽홍탁과 이옥화, 2005; 황은실, 2009; 정혜림과 임미연, 2016) 여러 논문에서 언급되고 있으나, ‘자기환경화자체에 대한 많은 이론적 발전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자기환경화를 이용한 환경교육의 전략을 구성하는 요소들, , 지역이나 장소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현장의 이용, 직접적인 체험의 강조,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활동 과정을 통한 능동적 참여의 과정, 토론 등을 통한 환경에 대한 내면화 반응의 과정 등은 현재의 환경교육이나 지속가능발전교육을 구현하기 위한 교수학습의 과정에서도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유사 개념 비교 설명

환경교육 현장이나 연구에서는 자기환경화가 사용되는 경우도 있지만, 전 세계적으로는 주인의식(ownership), 권한 부여/헌신(commitment) 같은 개념이 널리 사용된다. 특히 최근 지속가능발전교육이 전 세계적으로 강조되면서 이들에 대한 강조가 더욱 두드러지게 되었다(UNESCO, 2004; UNESCO, 2014). 그러나 주인의식은 자기환경화의 입장에서 본다면 자기환경화가 일어난 후의 의식 또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으며, 권한부여 또는 헌신으로 번역될 수 있는 commitment의 경우에는 자기환경화의 과정 또는 자기환경화가 일어난 후의 과정을 지칭하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으므로 이와 구분될 수 있다. 자기환경화를 통한 환경교육 전략은 현장체험학습, 장소기반 학습, 지역사회 기반학습 등과 유사한 특징을 가진다. 여기서 현장 체험학습에서는 자연과의 직접적인 체험을 통해 학습자들이 지식을 갖추고 기능을 개발하며 가치를 명료화하기를 기대한다. 장소기반 학습은 특정 장소를 맥락으로 하여, 또 지역사회 기반학습에서는 자신들이 살고 있는 동네라는 고유의 맥락 안에서 학습을 추구하는 교수학습 전략이다.

참고문헌

김인호, 김귀곤(1998) 환경교육의 장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에 대한 연구, 환경교육, 11(1), 195-216.

이선경(1993) 학교 환경교육의 문제점과 자기환경화를 통한 환경교육 전략의 효과,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이선경, 장남기(1993) 자기환경화를 통한 환경교육 전략의 효과, 환경교육, 5, 71-88.

이선경, 김상윤, 윤여창(1998) 자기환경화를 가능하게 하는 자연교육 프로그램: 미국의 미시건 4-H 어린이 정원, 바인더 파크 동물원 및 국립공원 사례를 중심으로, 환경교육, 11(1), 102-117.

곽홍탁, 이옥화(2005) ‘환경프로젝트 학습활동이 초등학생의 자기환경화에 미치는 효과, 환경교육, 18(3), 45-58.

황은실(2009) 농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자기환경화를 위한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사례, ()한국환경교육학회 하계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05-108.

정혜림, 임미연(2016) 장소기반 환경교육을 통한 학습자와 자연간의 상호작용 및 장소감 양상. ()한국환경교육학회 하계 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172-174.

UNESCO (2004) United Nations Decad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005-1014; Draft International Implementation Scheme, UNESCO, Paris.

UNESCO (2014) Shaping the Future We Want. UNESCO. Par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