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 환경교육 교재 |
---|---|
영문 | Environment Education Materials |
■ 정의 및 특징
환경교육 교재는 환경교육 환경에서 중요한 요소이며 교사에 의해 변화시킬 수 있는 부분이다. 환경교육의 상황에서 학습자의 활동 형태는 개별화 또는 소집단 활동을 강조하기 때문에 이러한 활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사는 학습자와 매개 역할을 할 수 있는 적절한 교재를 제공해야 한다. 그러므로 교사는 학습자의 연령, 인지발달 수준, 심리적 특성 등을 고려하여 학습자의 흥미에 맞는 교재를 제작하고 준비하여야 한다.
환경교육 교재는 교육과정과 교과서, 프로그램, 웹사이트, 신문기사, CD ROM, 컴퓨터 소프트웨어, 비디오 테이프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자료들을 포함하고 있지만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 학생과 학생의 상호작용, 학교환경교육과 사회환경교육의 공유를 위한 연결고리로서 가장 중요한 매개체는 인쇄 매체, 영상매체, 웹사이트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교육 교재에는 특성상 많은 사람들이 지향하는 사회상이 담겨져 있으며 불투명하게나마 환경에 대한 가치관과 세계관도 포함되어 있다. 특히 영상매체나 웹사이트 등에는 제작자나 제작한 단체의 특정 이데올로기를 담고 있기 마련이다. 따라서 환경교육 교재를 선택, 사용할 경우 지식의 옳고 그름이나 제시방법에 대한 비판에 앞서 그 교재가 지향하고 있는 환경관(environmentalism)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양재식과 남상준, 2003).
■ 교재의 기능과 내용
효과적인 환경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학습 목표가 설정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학습 내용이 구성되면 그 다음은 어떤 방법으로 학습 내용을 학습자에게 전달하는 것이 효과적인지가 제기된다. 교재의 교육적 기능은 매개적 보조 기능, 정보 전달 기능, 학습 경험 구성 기능, 교수 기능 등의 4가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기능 | 내용 |
---|---|
매개적 보조 기능 | 교사가 학습자를 가르칠 때 보조 수단을 교재로 사용하는 것 교사와 학습자의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는데 기여 |
정보 전달 기능 | 매체가 지닌 여러 가지 장점, 시공간을 초월하고 감각적인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을 수업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것 |
학습 경험 구성 기능 | 교재를 학습 대상으로 삼아 기능적인 경험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 |
교수 기능 | 교재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학습자의 지적 능력을 개발시키는 것 |
환경교육 교재의 종류는 문서 자료와 비문서 자료로 구분할 수 있으며, 문서 자료는 환경 교과서, 환경 교사용 지도서, 각종 학생용 참고도서, 각종 간행물, 연감, 통계자료, 연구 논문 등이 해당되며, 각종 홈페이지, 블로그 등의 인터넷 자료도 해당한다. 비문서 자료는 환경교육 학습의 현장, 관찰 표본, 사진, 삽화, 슬라이드, 영화, 프로그램, 뉴스 등이 해당하며, 읽기 자료인 문서 자료에 비해 환경에 대한 현장성과 사실성의 구현이 가능하여 환경교육의 목표인 인식, 지식, 기능, 태도, 참여 목표를 달성하는 데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 유사 개념 비교 설명
교육 활동에서 학습자의 학습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각종 매체를 활용하는데 이를 일반적으로 교육자료(educational materials)라고 하며, 이와 비슷한 용어로 교재·교구, 교수매체, 교수학습 자료 등이 혼용되어 사용
■ 참고문헌
양재식, 남상준(2003) 환경교육 교재의 적합성 분석. 환경교육, 16(2), 77-85.
정진우, 양일호, 정철(2002) 교원 양성 대학의 과학교재론 교재 개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