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 환경해설 |
---|---|
영문 |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
■ 논의를 위한 전제
환경교육과 환경해설, 환경커뮤니케이션은 때로는 중첩되고 때로는 서로 긴밀하게 연결된 분야이다. 이 논의에서는 ‘넓은 의미의 환경교육’을 ‘좁은 의미의 환경교육’과 환경해설(environmental interpretation), 환경커뮤니케이션(environmental communication)을 포괄하는 것으로 본다. 이 중, 환경해설을 ‘좁은 의미의 환경교육(environmental education)’과 비교하여 그 의미를 구체화하고자 한다. 환경해설은 ‘넓은 의미의 환경교육’의 일부로 볼 수 있으나, ‘좁은 의미의 환경교육(environmental education)’과 비교하여 차별적 특징을 갖는다.
■ 환경해설의 개념
환경해설은 쉽게 정의되지 않는 개념이다(하시연, 2006). 환경해설은 일반적으로 ‘환경을 설명한다.’라는 의미를 갖는데, 현장에서는 자연환경해설, 숲해설, 생태해설, 식물해설 등의 용어나 보다 넓게는 ‘안내’ 또는 ‘체험’과 같은 용어와 혼용되기도 한다.
환경해설이라는 개념이 등장한 이후 환경해설에 대해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단일한 정의는 없지만 다음과 같은 환경해설의 공통적인 특성과 원칙은 공유되고 있다(하시연, 2006). 환경해설은 식물 등의 이름이나 단순한 정보를 주고받는 것이 아니라 현상에 내재된 의미와 관련성을 나타내 보이는 교육 활동이다. 환경해설은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경험(체험)을 전제로 한다. 환경해설은 특정한 장소에서 이루어지며 그곳의 환경과 자연 등을 해설의 소재로 다룬다. 환경해설의 내용은 유무형의 자원에 담긴 보편적 의미를 연결하여 상호관련성을 이해하고 관계를 맺도록 하는데 중심을 둔다. 환경해설에서 즐거움과 흥미는 그 자체가 목적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특징을 정리하여 하시연(2006)은 환경해설을 “직접적인 체험이 가능한 상황에서, 다양한 감각을 이용하고, 특정한 곳에서 장소 중심적으로 이루어지는 교육 방법”으로 보았다. 아울러 환경해설은 실제의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치지 않고, 참여자의 인지적이고 감성적인 측면을 자극하며 영감을 주고 오락적인 요소를 포함하여 참가자의 태도와 행동을 변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 환경해설과 환경교육 비교
환경해설에 대한 많은 연구에서 환경해설을 환경교육의 실천 형태 중 하나로 보았다(성수진·김용근, 2001; 하시연, 2006; 최병조, 2012). 특히 Knapp(1998)은 환경해설을 ‘넓은 의미의 환경교육’을 실천하는 방법으로 보았다. 많은 경우 환경해설은 환경교육과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으며, 목표와 성과에 있어서도 환경교육과 유사하게 서술되곤 하였다(Knapp, 1998; Carson & Knudson, 1996; Ham, 1992).
환경해설과 환경교육은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다. 환경교육에서 강조하는 것은 인간과 환경의 상호관련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환경에 대한 태도와 기능, 행동의 변화를 기대한다. Tilden(1977)은 환경해설을 “조각의 정보를 주고받는 행위가 아니라 함축적이고 직접적인 실체에 내재된 의미와 상호관계를 밝히고자 하는 교육 활동”으로 정의하며 상호관련성을 강조하였다. 환경해설은 단순한 지식을 넘어 인식의 영역까지 고려하며 태도와 행동의 변화를 추구하는 목표에 포함한다. 이렇듯 환경교육과 환경해설은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한 환경 지식의 습득과 태도와 행동 변화를 이끌어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고 있다.
하지만 실제 환경교육과 환경해설이 진행되는 현장에서는 추구하는 구체적인 목표가 각기 다를 수 있다. 환경교육이 환경을 개선하는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역량 있는 시민을 길러내려고 한다는 점에서 기능과 실천을 강조한다면, 환경해설은 해설 대상이나 장소에 대한 지식과 태도의 변화를 주요 목표로 삼는 경우가 많다. 환경해설에서의 행동 변화는 해설 장소나 대상에 한정적으로 나타나고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는 경우도 많다. 환경교육의 한 방식인 환경해설은 환경교육 원칙의 큰 틀 안에서 이루어지며 환경교육의 일반적인 목표를 성취하고자 하지만 교육의 진행과정, 상황, 대상 등에서 ‘좁은 의미의 환경교육’과 차이가 있다(표 13).
구분 | 환경교육 | 환경해설 |
---|---|---|
교육장소 | 교실 (또는 학교 밖 현장) | 현장: 공원, 자연지역, 박물관 등 |
교육상황 | 정형적 학습상황 | 비정형적 학습상황 |
교육내용 | 공식 교육과정에 따름 | 비공식 교육과정에 따름 |
교육시간 | 표준화, 연속적 교육 | 비표준화, 비연속적 교육 |
참여 동기 | 의무적 참여 | 자발적 참여 |
학습자 특성 | 유사 연령의 학습자 | 다양한 연령의 학습자 |
전달체계 | 공식적, 규범적 언어 | 비공식적, 다양한 언어 |
환경교육과 환경해설의 이러한 차이점은 형식교육(formal education)과 비형식교육(nonformal education)이나 학교환경교육과 사회환경교육의 특징 차이를 구분한 것과 유사하다. 따라서 환경교육과 환경해설의 차이가 두 영역의 본질적 차이보다는 교육 형식의 차이를 반영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환경해설은 비형식교육의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환경교육의 한 방식으로 볼 수 있다. 정리하면, 환경교육과 환경해설은 인간과 환경의 상호관계를 이해하고 행동 변화를 기대한다는 공통점을 갖지만 교육의 형식 차이로 인해 학습자들에게 다른 방식으로 접근하게 된다.
■ 학술지 『환경교육』 등에 게재된 환경해설 관련 연구
환경해설에 관한 연구들은 한국환경교육학회 발행 학술지인 『환경교육』를 비롯하여(황주영·윤미정,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지』(조우 등, 2009; 정관웅 등, 2007)와 『한국조경학회지』(성수진·김용근, 2001) 등에 게재되었다.
이 중 『환경교육』에 게재된 논문들은 환경해설을 환경교육의 한 방식으로 강조한다. 황주영· 윤미정(2016)은 ‘IPA 기법을 통한 식물해설 내용에 대한 중요도-성취도 비교 분석’이라는 연구에서 야외 환경교육장으로서 역할을 하는 국립공원, 자연휴양림, 수목원, 식물원 등에서 이루어지는 숲해설에 포함된 식물해설 내용을 도출하고 숲해설가들이 인식하는 중요도와 성취도를 비교하였다. 즉, 이들의 연구에서 환경해설은 ‘숲해설’과 ‘식물해설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김인철 등(2005)은 국립공원 직원의 환경관과 자연환경해설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에서 자연학습탐방로를 ‘자연학습’을 주제로 한 환경교육 시설의 일종으로 보고 이를 활용한 ‘자연환경해설’이 좋은 환경교육의 방식이 될 수 있다고 제시하였다.
한편, 『한국환경생태학회지』와 『한국조경학회지』 등에 게재된 환경해설 관련 논문들은 환경해설을 국립공원, 생태공원 등 대상지 관리의 수단의 일환으로 간주하여 관리주체의 목표 달성을 돕고, 자연 파괴 행위 등 바람직하지 못한 이용 행위를 줄이며, 탐방객의 방문지에 대한 이해를 도와 즐거운 경험을 제공하여 만족감을 높이고, 탐방객이 관리주체의 목표와 목적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도록 돕는 관리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보았다.
■ 유사 개념 비교 설명
‘자연해설’, ‘숲해설’, ‘식물해설’: 최일선 등(2014)은 2014년 실시된 숲해설가 직무교육 프로그램에 포함된 과목으로 「산림교육프로그램 개발」,「식물의 이해」,「숲해설 프로그램 기획」,「자연놀이」 등을 소개하였는데, 환경해설 분야에서 ‘숲해설’, ‘산림교육’, ‘식물해설’ 등이 유사한 개념으로 사용된다.
■ 참고문헌
김인철·김수일·차희영(2005) 지리산 국립공원 직원의 환경관과 자연환경 해설에 대한 인식 조사, 환경교육, 18(1), 110-119.
성수진, 김용근(2001) 생태공원에서 환경해설자의 교육적 효과: 길동자연생태공원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8(6), 52-61.
정관웅, 심정선, 조중현, 오형은, 김용근(2007) 사전환경해설이 공원이용객의 환경관심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월드컵공원을 대상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1(3), 213-222.
조계중(2005) 자연환경해설개론. 서울: 수문출판사.
조우, 최송현, 유기준(2009) 변산반도국립공원 탐방객의 환경 해설 매체 이용평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3(2), 127-134.
최병조(2012) 자연환경해설사의 환경관과 교육관.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일선, 하시연, 손지원(2014) IPA 기법을 활용한 숲해설가 직무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중요도와 성취도 차이 분석. 한국임학회지, 103(4), 679-686.
하시연(2006) 숲 해설가 양성 프로그램의 교육과정 구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황주영, 윤미정(2016) IPA 기법을 통한 식물해설 내용에 대한 중요도-성취도 비교 분석. 환경교육, 29(3), 286-296.
Carson, M. G., & Knudson, D. M. (1996) Interpretation at national wildlife refuges: What managers see. Legacy, 7(6), 12-15.
Ham, S. (1992)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A Practical Guide for People with Big Ideas and Small Budgets. Golden, CO: North American Press.
Knapp, D. (1998)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The relationships. Essential Readings in Environmental Education, 293-300.
Tilden, F. (1977) Interpreting Our Heritag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