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 환경학,생태학,환경과학 |
---|---|
영문 | environmental studies,ecology,environmental science |
■ 생태학, 환경과학, 환경학의 개념
생태학은 생태계(ecosystem)를 연구 대상으로 하는데, 생태계란 생물과 비생물 환경으로 이루어진 계(system)이다(Botkin & Keller, 2012). 생태학이란 생태계에서 생물과 생물사이의 상호작용, 생물과 비생물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학문이다(Raven et al., 1998).
환경과학(environmental science)은 인간이 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하는 학제적 연구 분야이다(Raven et al., 1998). 환경과학이 학제적인 성격을 갖는다는 것은 환경 및 환경문제와 관련하여 여러 학문 분야, 즉 생태학, 화학, 지구과학, 물리학, 생물학 등 자연과학과 경제학, 정책학, 법학, 사회학 등 사회과학, 철학과 윤리학 등 인문학, 그리고 환경공학, 자연자원 관리학, 임학, 농학, 환경보건학, 독성학 등 응용과학의 학문적 탐구를 바탕으로 환경과 환경문제에 대해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이해를 추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환경과학은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과 같은 전통적인 자연과학의 성격을 넘어선다. 자연과학만이 아니라 인문사회과학과 응용과학을 포함한다.
학문적인 역사로 보면 환경과학은 세계적으로 환경문제가 중요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된 1960년대 이후 발달된 것으로(Botkin & Keller, 2012), 지구의 생물ㆍ물리적 환경에 수질오염, 기후변화 및 대기오염, 생물종 감소 등과 같은 환경문제를 탐구하는 것이 중요한 학문적 영역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환경과학은 그 성격상 환경 그 자체도 탐구하지만 환경문제의 이해와 해결을 추구하는 것을 다른 학문 영역과 특히 구별되는 특성으로 가진다고 할 수 있다(이두곤, 2006b).
환경과학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환경문제의 원인으로 중요하게 거론되는 것은 인구증가, 도시화, 과학기술의 발전, 경제 성장 등이다. 저개발된 사회(또는 개발도상국)는 역사적으로 현대 사회로 접어들면서 경제개발을 중요한 과제로 삼게 되고, 경제성장의 과정에서 흔히 대기오염과 수질오염, 생물종 멸종 및 생물다양성 감소 등 환경문제가 심각하게 생기게 되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러한 경향은 현대 사회의 공통적인 문제이다.
환경문제는 다양한 학문이 관계되는 학제적인 성격을 가지며, 환경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인문사회적인 측면이 대폭 강조된 총체적이고 종합학문적인 접근이 필요하게 된다. 동시에 각 국가 사회의 관심을 반영하여 과학기술 분야는 물론 인문학과 사회과학 분야에서도 환경문제와 연관한 다양한 접목이 있어왔다. 그래서 환경과 환경문제를 다양한 학문적 관점으로 탐구하는 학문 영역을 ‘환경학’이라고 하기도 한다.
이 때 환경학은 앞서 환경과학 보다는 넓은 개념으로 그러한 환경과학을 포함하되 보다 넓게 철학, 윤리학, 법학, 정치학, 사회학, 인류학, 농학, 공학, 생물학, 기상학, 지구과학, 보건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환경적 접근을 하는 것(학제적 접근의 환경학)을 ‘환경학’(environmental studies)이라 할 수 있다(최석진 등, 2002). 그러나 학자들에 따라서는 우리나라에서 환경과학과 환경학의 개념을 구별하지 않고, 환경학도 환경과학(environmental science)과 같은 개념으로 보기도 하나, 보통 환경학을 환경과학 보다 폭 넓게 인문, 사회과학의 다양한 다학문적 접근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 환경교육의 모학문에 대한 논의
앞서 살펴본 환경과학, 생태학, 환경학의 개념을 환경교육과 연관해 살펴보면, 환경과학의 한 부분으로 생태학을 포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생태학은 환경문제를 탐구하는 환경과학의 중요한 기초 원리를 제공하고 있으며, 생물 멸종과 생물 다양성(biodiversity) 감소 문제는 중요한 환경문제의 하나이다. 이런 점에서 환경교육의 맥락에서 생태학은 환경과학의 중요한 핵심 구성 요소이자 기초라고 할 수 있다. 환경학은 환경과학을 포함하되, 환경과학 보다 넓게 인문 사회적 측면에서의 환경과 환경문제에 대한 논의를 포함한다. 또한 개념적으로 환경학은 자연과학과 공학이나 농학 등 응용과학 영역에서도 환경과학을 넘어서서 다양한 관점에서 환경문제를 접목하여 탐구하는 것을 포함한다. 즉, 환경과 환경문제에 대한 종합적인, 학제적인 탐구가 환경학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환경교육의 모학문이 무엇일지 생각해 본다면, 환경학이 환경교육의 바탕이 되는 모학문이 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이두곤, 2007a, 2007b). 환경교육에서 생태학과 환경과학이 중요한 바탕이 되지만, 환경과 환경문제에 대한 인문사회적 탐구와 자연과학적 탐구가 모두 포함되는, 과학적이며 통찰적인 체계적 지식이라 할 수 있는 환경학이 바람직한 환경교육의 바탕이 되는 모학문으로서의 성격을 가질 것으로 생각된다.
■ 환경교육과 환경학
한국의 환경교육 연구계에서는 환경교육의 교육내용을 환경과학에 토대를 두고 구성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고 보며, 환경교육의 관점이 반영된 환경학을 모색하고자 한 ‘환경교육을 위한 환경학’(이두곤, 2006) 개념이 제시된 바 있다. 환경학이 환경교육의 내용이 되기 위해서는 환경과 환경문제에 대한 보다 일반적 의미에서의 탐구(즉 과학적 탐구와 통찰적 탐구를 모두 포함하는)에 바탕을 둘 필요가 있으며, 환경교육적 관점이 반영되어 체계화된 학문이 ‘환경교육을 위한 환경학’이라는 것이다.
‘환경교육을 위한 환경학’에 대해 이두곤(2006a)은 그 구성요소를 1) 환경 자체에 대한 이해, 2) 환경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이해, 3) 환경문제에 대한 이해, 4)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해결 방안, 5) 보다 근본적으로 환경을 보전하기 위한 대책의 5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제시한 바 있다. 이러한 ‘환경교육을 위한 환경학’의 개념은 <표 3>과 같이 제시한 바 있다(심정은, 이두곤, 2008a, 2008b).
영역 | 내용 |
---|---|
1) 환경 자체에 대한 이해 | - 인간의 간섭 없이 건강한 환경 자체가 가지는 특성에 대한 탐구 - 여러 형태의 자연계의 환경이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가에 대한 탐구 -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 자연의 환경이 인간의 간섭이 크게 없이 건강한 자연적 상태에서 어떻게 존재하며, 어떠한 상호작용을 통해 어떻게 변화하는가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는 탐구 - 환경 자체가 가진 고유한 가치를 추구하는 탐구 |
2) 환경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이해 | - 인간에 의한 환경관련 변화에 대한 탐구, 인공환경과 자연환경과의 관계를 이해하고자 하는 탐구 - 환경은 인간에게 어떤 의미를 주는지, 어떤 필요와 가치가 있는지, 어떻게 개발되고 이용되는지에 대한 탐구 |
3) 환경문제에 대한 이해 | - 환경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환경문제가 발생되는 과정과 그 현상에 대한 탐구 - 인간 활동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구 |
4)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해결 방안 | - 발생되는 구체적인 환경문제에 대해 가장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과학 기술적,사회 경제적, 정책적 해결방안을 찾는 탐구 - 본질적으로 응용과학적 성격을 갖는 환경문제 해결 방안을 찾는 탐구 - 환경에 대한 기초학문적 이해를 바탕으로 실제적인 문제 해결을 추구하는 탐구 |
5) 보다 근본적으로 환경을 보전하기 위한 대책 | - 환경을 보다 근본적이고 예방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탐구 - 거시적이고 기초적이며 미래지향적인 관점에서 지속가능한 환경을 위하여, 어떤 사회적, 개인적 노력을 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탐구 - 관련된 철학적 규명, 의미 해석, 어떤 사회적? 교육적? 과학기술적? 문화적 시스템을 만들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탐구 |
이상과 같이 ‘환경교육을 위한 환경학’의 개념은 넓은 의미의 환경학이 환경교육의 바탕이 되는 모학문이 되고자 할 때 특히 가져야 할 내용적 성격을 제시해 줄 수 있다.
■ 유사 개념 비교 설명
환경학과 환경과학을 같은 의미로 쓰는 경우도 있다. 즉, 환경학을 environmental science(환경과학)의 의미로 쓰며, 이 경우 환경학과 환경과학은 같은 의미인 것이다. 환경과학(환경학, environmental science)은 환경오염과 환경파괴 문제의 원인과 해결방안을 과학적인 내용을 포함하여 정책과 법적인 문제까지 일부 포함하여 다루는 학문이 환경과학(또는 환경학)으로 보며, 이는 영어로 environmental science를 번역한 것으로 본다. 이 용어해설의 본문에서는 환경학을 보다 넓은 다학문적인 접근을 포함하는 의미로 보고, 환경과학은 environmental science의 의미로 보다 좁게 보는 것이 다수 의견으로 보이지만, 우리나라의 학계에서 아직 환경학과 환경과학의 용어 구분을 하여야 하는지는 학자들의 견해가 일치된 상태는 아니다.
■ 참고문헌
심정은, 이두곤(2008a) 초등 환경교육에서 가지는 환경교육을 위한 환경학의 함의, 한국환경교육학회 전반기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161-169.
심정은, 이두곤(2008b) 해양환경공학과 환경교육: 환경교육을 위한 환경학의 관점에서.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 11(4), 175-180.
이두곤(2006a) 탐구중심 환경교육의 개념과 의미. 환경교육, 19(1), 80-89.
이두곤(2006b) 환경학과 환경교육의 관계.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05-108.
이두곤(2007a) 환경교육과 교과 내용.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46-162.
이두곤(2007b) 환경교육과 환경학의 관계: 환경교육을 위한 환경학의 관점. 한국교원대학교 환경학교육연구소(ESE) 학술발표 및 토론회 자료집, 3-24.
최석진, 신호상, 이도원, 이두곤 (2002) 고등학교 생태와 환경. 대한교과서주식회사.
Botkin, D. B. & Keller, E. A. (2012) Environmental Science. 8th ed. Jonn Wiley & Sons.
Raven, P. H., Berg, L. R., Johnson, G. B. 지음 안동만 옮김(2001) 환경학, 보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