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세보기

환경교육용어사전

환경교육 장소와 시설

용어, 영문
용어 환경교육 장소와 시설
영문 Field and Facility for Environment Education

환경교육 장소와 시설의 특성

환경교육 장소와 시설은 환경을 위한(for) 학습경험에 사용되고 사용될 수 있는 공간이자 수단을 말하는 것으로, 환경체험에 의해서 교육과정을 확대하고 보다 풍부하게 하기 위한 수단이다. 환경교육이 통합성의 원칙에 의해 전 교과에서 골고루 이루어지고 있는 것처럼 환경교육 장소와 시설 또한 전 교과목에서 환경에 관한(about) 교육을 환경 안에서(in) 할 필요가 있을 때 활용될 수 있다. 비록 이러한 정의가 모호한 감이 있지만, 환경교육에서 환경교육 장소와 시설을 활용하여 가르치는 하나의 방법이자 체험의 활용을 우선적으로 관심에 두는 방법이라는 철학은 분명하다. 장소(場所)라는 측면에서 이미 일정한 규모를 갖는 물리적인 공간영역과 공간 내에 위치하는 자연요소와 인공요소 등의 여러 구성요소들이 한데 어울러져 있는 실체라고 할 수 있다.

환경교육 장소와 시설은 물리적인 자원으로서의 중요성보다는 교육적 가치를 지니도록 학생과 도시민들에게 적합하고, 흥미 있는 프로그램과 함께 활용될 때 장소의 효용성이 높다. 유의해야 할 사항은 환경교육 장소와 시설은 일반적으로 인식되어 있는 이상으로 학습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지만 반드시 이상적인 장소와 시설의 부족이 환경교육 활동을 저해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환경교육을 위한 목적으로 조성되지 않은 장소와 시설도 교육적으로 재구성하려는 의지와 관심만 있다면 훌륭한 환경교육 장소와 시설로 탈바꿈하여 활용할 수 있다.

 

환경교육 장소와 시설의 구분

환경교육 장소와 시설은 장소의 물리적 특성, 규모, 접근성 등에 따라 구분할 수 있으며, 교육프로그램을 고려하여 환경교육의 활동목적과 활동소요시간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특정 환경교육 장소와 시설에 여러 환경교육내용과 프로그램을 적용할 수 있고 다양한 활동목적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엄밀한 구분은 사실상 어렵다. 하지만 환경교육 장소와 시설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환경교육프로그램을 작성하는데 기준이 될 수 있는 활동목적에 따라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함께 활동소요시간에 따라 한시간이내의 활동, 반나절이내의 활동, 하루정도의 활동, 숙박을 필요로 하는 장소와 시설, 지속적인 관찰활동을 위한 환경교육 장소와 시설로도 구분할 수 있으며, 자연성과 인공성의 정도나 접근성의 정도에 따라서도 구분할 수 있다.

활동목적에 따라 구분하면, 주변 자연관찰학습을 위한 환경교육 장소와 시설, 자연관찰답사 활동을 위한 환경교육 장소와 시설, 방문?견학활동을 위한 환경교육 장소와 시설, 체험과 참여학습을 위한 환경교육 장소와 시설, 역사?문화학습을 위한 환경교육 장소와 시설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주변 자연관찰학습을 위한 환경교육 장소와 시설

가까운 곳에서 손쉽게 우리의 자연과 사회환경에 대한 관찰을 할 수 있는 장소와 시설을 말한다.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도 용이하며 필요하다면 교실에서의 수업 시에도 언제라도 이용할 수 있는 곳으로 가르칠 수 있는 순간(teachable moment)에 가르칠 수 있어 교육효과가 높은 곳이다. 특히 이동에 따른 시간이나 경비문제 등이 없어 자주 활용할 수 있는 기회성과 접근성이 높은 환경교육장으로 교사가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으며 교사가 특별히 지식을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학생들이 일상적으로 접할 수 있는 장소이기 때문에 자기환경화할 수 있는 가능성도 높다. 대표적인 환경교육 장소와 시설로는 학교숲(校庭), 어린이놀이터, 학교주변의 하천이나 작은 산과 근린공원(근린생활권 근린공원, 도보권 근린공원), 도시자연공원, 청소년수련시설 중 생활권 수련시설 등을 들 수 있으며, 지역적인 특성에 따라 더 많은 장소를 활용할 수 있다.

 

자연관찰?답사활동을 위한 환경교육 장소와 시설

대규모의 공간적 범위와 다양한 자연환경요소를 보유한 장소와 시설로 활용을 위해 먼 거리를 이동하거나 숙박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장소들은 관찰과 답사를 함께 수용할 수 있는데, 장소와 시설에 따라 관찰을 위한 안내책자, 안내판, 안내원, 안내방송, 방문자센터, 자연관찰로 등의 환경해설(interpretation)시설이 설치되어 있기도 하여 이동에 따른 시간의 손실은 있어도 여러 자연환경을 직접 관찰 체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장소와 시설이다. 특히 숙박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경비와 안전문제 등뿐만 아니라 장소에 특성을 반영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대표적으로는 식물원(수목원), 청소년수련시설 중 자연권 수련시설, 자연휴양림, 자연공원(국립공원, 도립공원, 군립공원) 등을 들 수 있다.

 

방문?견학활동을 위한 환경교육장

환경문제의 현황과 영향을 직접 목격할 수 있는 장소나 환경이 잘 보전되어 보전의식을 고취할 수 있는 곳을 말한다. 환경이 잘 보전되어 있는 곳에서는 관찰과 답사를 위한 목적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이미 외부인의 방문?견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자와 안내프로그램이 있는 경우가 있어 교사들이 방문?견학에 대한 예약을 한다면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곳이다. 이러한 장소와 시설에서는 학생들에게 환경문제의 원인과 결과를 자신의 생활과 관련지을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대표적인 환경교육장으로는 하수처리장, 정수장, 쓰레기 매립장, 시도별 과학관, 환경교육센터 등을 들 수 있다.

 

체험과 참여학습을 위한 환경교육 장소와 시설

보고, 듣고, 만지고, 냄새 맡고, 맛보는 등의 오감(五感)을 이용한 환경교육에 추가되어야 할 것으로 강조되는 것이 바로 노작(勞作)활동을 통한 자연과의 교류이다. 텃밭과 같은 장소는 학생들을 위한 최적의 학습환경 중의 하나이다. 텃밭은 일년 동안 어느 때라도 학생들에게 다양한 체험을 제공할 수 있는 보물창고와도 같은 공간이다. 체험과 참여학습을 위한 대표적으로 학교공간, 학교주변 텃밭, 자연학습원, 주말농장, 청소년수련시설 등을 들 수 있다.

역사?문화학습을 위한 환경교육 장소와 시설

어느 마을이나 지역이든 역사적 맥락을 확인할 수 있는 많은 역사?문화요소가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역사?문화학습을 할 수 있는 장소와 시설들은 지역주민이나 학생들에게 지역과 마을의 정체성과 애착심을 고양하는데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는 곳이다. 자신들이 생활하는 터전의 통시적인 맥락을 이해하면서 지역 주민들과 학생들은 앞으로 어떻게 지역과 마을을 가꾸고 보전해야 하는지를 고민하게 할 수 있으며, 나아가 지역의 합리적이고 환경친화적인 개발방향을 설정하는데 중요한 인식의 바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대표적인 역사?문화학습을 위한 환경교육 장소와 시설로는 사찰, 서원, , , 궁궐, 성곽 등의 물리적인 형태로 남아있는 곳들과 지역의 고유한 풍습, 생활방식 등의 문화적인 내용들이 포함된 박물관과 유적지가 포함될 수 있다.

 

환경교육센터

2008년 환경교육진흥법의 제정으로 환경교육종합계획 수립, 사회환경교육지도사 자격제도, 환경교육프로그램 인증제도, 환경교육센터 지정 등의 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휴먼웨어의 3가지 시스템이 체계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법적인 근거가 마련되었다. 환경교육센터는 환경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활동이 일어날 수 있도록 인력, 자원, 프로그램 등을 집중적으로 보유, 관리, 지원하는 교육 시설로 정의할 수 있다(이재영 외, 2004).

 

환경교육센터 유형 구분, 특 성, 국내 사례

유형 구분

특 성

국내 사례

장소중심형

(자연학습원형)

? 환경해설의 가치가 높은 지역이나 장소를 중심으로 환경교육센터를 건립함.

? 시설물의 설치를 줄이고 장소적 특성과 자원의 생태문화적 가치를 보전하면서 교육적으로 활용하는데 주력함.

? 상대적으로 탐방로와 안내판이 중심적인 시설을 구성함.

? 국립공원, 습지(갯벌), 동굴 등에 위치하여 장소의 자원이 환경교육센터의 주제나 테마를 구성하는 경우가 많음.

? 국내 사례로 내장산 자연탐방센터, 시화호 인공습지 생태학습원, 맹산자연학교 등

? 자연환경연수원이 해당

시설 중심형

? 주로 도시 지역에 위치하며, 이용자들의 접근성이 높은 반면에 시청각 매체 등에 대한 의존도가 높음.

? 전시장, 강연장, 자료실 등 시설물을 위주로 구성됨.

? 외국에서는 자연사박물관이나 동물원, 식물원 등과 연계되어 있는 경우가 많음.

? 주제 선정에 있어서 보다 자유로우나 백화점식이 되면 전문성과 매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음.

? 국내 사례로 서울환경교육센터(건립추진 중), 도봉구 환경교육센터 등

프로그램 중심형

? 특별히 가치가 있는 지역에 설치하는 것도 아니고 대규모의 시설도 건립하지도 않는 대신 산재한 교육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에 초점을 맞춤.

? 시설 관리나 유지 등에 드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이 다양할 수 있으나, 단기적으로 운영될 경우 노하우의 축적이 어렵고 프로그램이 불안정할 수 있음.

? 국내사례로 환경운동연합의 환경교육센터 등

종합형

? 엄밀한 의미의 환경교육센터(Center)라고 할 수 있으며, 위에서 제시된 3가지 유형을 동시에 또는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센터임.

? 대개 국가나 광역지방자치단체(미국의 ) 수준에서 건립되며 소수에 한정되는 경우가 많음..

? 국내에는 아직 엄밀한 의미의 종합형 환경교육센터는 존재하지 않음.

? 국공립환경교육센터가 여기에 해당

환경교육센터는 환경교육관, 환경센터, 교육센터, 자연학습원, 자연환경연수원, 생태교육관, 체험환경교육센터, 환경생태원, 생태학습원, 지속가능발전교육센터 등 여러 용어와 명칭으로 불리우고 있어 포괄적으로 환경교육, 자연교육, 생태교육, 자연해설, 지속가능교육 등 환경교육과 관련된 교육 및 활동을 목적으로 하는 기관이나 시설, 장소로 규정할 수 있다(김인호, 2009).

 

환경교육센터 구 분, 유형과 특성, 주요 시설

구 분

유형과 특성

주요 시설

자연체험시설군

? 자연에 친숙하게 자연을 느끼고 이해하는 시설

? 다양한 정보를 가진 자연의 특성을 살려 유용하게 활용하는 것이 필요

자연관찰로,소규모 관찰소, 야생동물접촉공간, 생태학습원, 천문대 등

스포츠?레크레이션(Sport?Recreation) 시설군

? 자연체험수단 중에 효과적 수단으로 개별 스포츠?레크레이션활동 그 자체를 목적으로 하지 않고 자연과 접하기 위한 기술, 수단이라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

? 레크레이션 센터를 기간시설로 하고 지도자에 의한 이용지도와 프로그램 제공됨, 지도자뿐만 아니라 용구, 설비, 요금책정 등 금전적인 측면에서 total 관리시스템이 요구,

? 특히, 이러한 시설은 사업화의 가능성이 높으며, 지역전체 활성화에도 공헌 가능하며, 모든 시설은 환경친화적으로 조성되어야 함

레크레이션 센터, 등산로, 사이클링도로, 수영장, 선착장, 초원, 산림, 스키코스, 다이빙, 캠프장

생산체험 시설군

? 자연과 직접 만나 먹을 것을 생산하고, 만들어서 먹을 수 있는 장

? 생산체험이 기본이며, 생산물에 생태적 부가가치를 부여하며, 시설운영자금을 일부 조달하는 부가적인 역할도 가능

? 축제 등을 이용한 연중 행사기획 가능

텃밭, 논밭, 유실수원, 과수원, 목장, 양어장, 염전, 양계장 등

예술창조체험 시설군

? 예술행위를 통해 자연을 체험하는 활동

? 공예(목공, 도예, 염색 등)나 예술(그리기, 조형, 연극, 음악, 문예, 사진, 영화, 비디오 등) 워크숍 개최

? 자유로운 표현의 장을 통해 풍부한 자연을 여유롭게 느끼고 자유롭게 표현하는 시설

? 지역특화된 예술창조의 체험과 지역문화 특성을 살린 프로그램제공, 지역역사와 함께하는 공예와 예술은 자연과 인간의 풍부한 관계를 표현

아트센터, 아트갤러리, 야외극장, 아뜨리에, 공방, 스튜디오, 현상소

전통적 생활체험 시설군

? 지역 전통생활문화 중 생태적이고 풍부한 정신생활로 유도하는 문화보전과 새로운 체험이 가능한 활동

? 지역고유의 생태적 생활문화를 재발견하고 현대적으로 재발견

전통생활체험센터, 생활공예시설, 전통농가, 고택(古宅), 식품가공공장, 잡화점

명상체험 (Inspiration) 시설군

? 예술창조체험시설군과 함께 감성으로 자연과 자신을 돌아보는 장

? 내면의 충실과 의식 변화를 도모하고 오감을 최대한 활용

명상센터, 야생지역, 오래된 숲, 야간산책, 전통찻집(다도문화, 茶道文化)

생태적 생활 (Ecological Life)체험 시설군

? 지구환경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생각하는 장

? 특히, 도시공간에서 이러한 체험시설을 어떻게 활성화할 것인가가 중요

? 에너지흐름관찰, 먹이연쇄, 자원절약, 에너지절약실천학습, 생태적 생활의 제안들을 프로그램화

라이프스타일 센터, 생태건축, 반생태적 건축, 바이오쉘터, 분구원 등

에너지물질순환 시설군

? 지역에너지와 물질을 하나의 계로서 순환시키고, 지구환경 파괴를 최소화하는 새로운 에너지의 개발 및 제안

? 에너지 현황에 대한 각성과 절약실천까지 연결

? 프로그램 : 자연에너지와 에너지전환의 학습, 전력자급자족, 물질순환의 학습, 생활 속의 에너지 절약체험, 지구환경문에의 인식향상

풍차, 태양에너지, 지열이용, 조력, 바이오 등 무공해에너지 활용시설, 급수시설, 배수처리시설, 쓰레기처리시설, 리싸이클센터

연구?교육 시설군

? 환경교육프로그램 연구, 개발, 다양한 관련기관으로부터 수집된 정보의 관리 및 운영, 환경교육을 위한 지도자 양성과정의 운영의 장

도서관, 연구실험장, 다목적실험실, 백엽상, 지도자 육성시설, 자원활동가 육성시설, 단기숙박형 환경교육시설, 자연학교

관리운영?서비스 시설군

? 관리운영시스템의 구축내부교통기관, 근무가 숙소, 자원활동가 숙소, 시설팀(수리공장) 등 프로그램의 원활한 수행을 위한 지원시설로서 건축 및 운영경비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함

? 식당, 내이쳐숍 등과 프로그램관련 재료판매시설 등 서비스시설도 포함

? 시설의 전반적인 운영 또한 생태적인 기초를 두고 운영

방문자센터, 주차장, 내부교통수단, 응급센터, 수리장, 화장실, 자원활동가 숙소, 재료점

 

환경교육센터의 유형은 일본의 환경교육시설 유형과 시설(淸里環境敎育フォ?ラム實行委員會, 2000)과 환경교육센터의 기능별 유형(이재영 외, 2004)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다양한 유형이 환경교육센터에 포함될 수 있으며, 환경교육을 위한 대표적인 장소이자 시설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김인호(2002), 학교조경활동 참여에 따른 환경태도 변화에 관한 연구-초등학생 학교조경 참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인호, 이재영, 이선경, 김태경(1996) 따로 또 같이 환경교육, 지성사.

김인호, 김귀곤(1998), “환경교육의 장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에 대한 연구”, 환경교육, 11(1), 195216.

김인호, 남상준, 이영(1999), “학교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한 현장체험 학습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기초연구”, 환경교육, 12(1), 294310.

이재영 외(2004). 경기도립환경교육센터 건립 기본계획 연구 보고서, 경기도.

정수정(2008). “국내 환경교육장(環境敎育場)의 유형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교육학회 2008년 상반기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67~71.

정수정, 이재영(2009). 일본 환경교육시설 조사 분석과 시사점, 한국환경교육학회 2009년 학회 창립 20주년 기념 특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78~81.

최석진, 김인호, 남효창, 박선미(2001), 체험환경교육 강화방안 연구, 한국환경교육학회.

P.M. Ford (1981), Principles and Practices of Outdoor/Environmental Education, John Wiley & Sons, 718.

淸里環境敎育フォ?ラム實行委員會(2000), 日本型 環境敎育?提案? 改訂版, 小學館.

環境學習のためのづくり?づくり編集委員會()(1995), 環境學習のためのづくり?づくり, ぎょうせ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