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세보기

환경교육용어사전

환경지혜,전통생태지식

용어, 영문
용어 환경지혜,전통생태지식
영문 environmental wisdom,traditional ecological knowledge

일반적인 개념 정의

인간은 자연환경과의 수많은 상호작용 속에서 생태학적 지식이나 토착지식을 생성해왔다. 토착지식은 그 지역의 토착민들이 그 지역의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형성한 지식을 말한다. 지역지식, 민속지식 등으로 불리며 토착 주민들의 삶에 체화된 이 지식은 보통 말을 통해 다음 세대로 전수된다.

한정된 자원 안에서 자급자족해야만 했던 전통 사회에서는 지역 환경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살 수 밖에 없었다(이도원, 2004). 일상생활 속에서 형성된 생물과 물리적 환경의 관계에 대한 경험적 지식과 실행 결과, 신념을 전통생태지식이라고 한다(Berkes, 1999). 전통생태지식은 시대와 장소를 반영하여 상황과 맥락 안에서 수정되고 변화되었다. 토착민들의 문화를 반영하는 전통생태지식은 영적?문화적?도덕적 가치와 맥락까지 포함하고 있다(Reid et al., 2002).

전통 지식은 1992년 유엔환경개발회의(UNCED)의 의제 21(Agenda 21)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방법의 하나로 주목받으며 부상했다(Berkes, 1999; Gadgil et al., 1993). 복잡한 환경문제의 해결책으로 여겨졌던 보편적 과학기술에 대한 믿음은 무너지고, 그 지역의 환경에 적합한 지역 단위의 문화다원주의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이다(Snively & Corsiglia, 1998; Shava, 2012). 이후로 지속가능한 환경관리를 위해 다양한 지역과 민족의 전통생태지식을 수집하고 적용하려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Nahban, 2000; Drew, 2005; Raymond et al., 2010).

전통생태지식은 특정 지역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의 각 민족과 공동체에 걸쳐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Kimmerer, 2002). 전통생태지식은 식물과 동물의 이름, 지역에 전해오는 이야기, 속담, 은유 등으로 남아 현재까지 전승되었다(Kurien, 1998). 전통생태지식에는 특정 종의 속성, 동물들의 이주 양식, 생물들과 미기후와의 관계 등 다양한 내용이 포함된다.

 

우리나라의 전통생태지식

우리나라의 전통생태지식은 농업과 어업, 민간요법 등 옛 사람들의 일상생활에서 실용적인 것들을 중심으로 전승되었다. 생업을 위해 자연현상을 관찰하고 날씨를 예측하는 경험적 지식이 발달했으며, 마을 입구를 숲으로 막아 기온을 유지하고 홍수나 가뭄의 피해를 줄이기도 했다. 농사를 주업으로 하는 우리 전통 사회에서는 물이 많이 필요했기 때문에 비에 관련된 속담이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남미리, 2014). 특히 농사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봄비 관련 속담을 통해 옛 사람들이 봄비를 반겼으며, 봄비를 통해 농사 수확량이 좋아질 것을 예측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의 전통생태지식

비와 관련된 속담

동물

현상

계절과 비

제비가 지면 가까이 날면 비가 내린다.

개미가 거동하면 비가 온다.

물고기가 입을 내놓고 호흡하면 비가 내린다.

서쪽 하늘에 햇무리가 생기면 비가 내린다.

소리가 잘 들리면 곧 비가 내린다.

봄비는 쌀비다.

봄비가 많이 오면 아낙네 손이 커진다.

 

전통문화와 환경지혜

환경지혜는 자연과의 복잡하고 미묘한 상호의존성에 대한 깊은 이해에 기초한 삶의 방식, 소비형태, 가치관 등을 포함하는 용어로 자신을 둘러싼 환경 속에서 조화롭게 살아오면서 터득한 지혜를 말한다. 그러나 환경지혜는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사라져가고 있으며, 다음 세대로 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단절되고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전통과 문화는 우리 삶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되어 왔으며 현재의 삶에도 영향을 끼친다(박환영, 2006; Shava, 2012). 전통은 시대나 상황의 변화에 따라 끊임없이 변경, 조정, 재창조되어 전달된다. 따라서 현대에 사는 우리는 조상들의 환경지혜를 배워 지금의 상황에 맞게 새롭게 해석하고, 환경지혜를 바탕으로 새로운 지식과 가치를 구성해나가야 한다.

 

환경지혜와 환경교육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생활 양식과 소비 양식의 올바른 선례를 우리 전통 속 조상들의 모습에서 찾을 수 있다(최종선, 2005). 오랜 세월 동안 자연과 긴밀하게 상호작용을 하며 자연적 한계를 인정하고 터득한 삶의 방식과 지혜는 주변 환경을 지속가능하게 유지하면서 형성된 것이기 때문이다. 토착민들은 수세기 동안 인간의 욕구와 자연의 욕구 사이에서 슬기로운 균형을 맞춰가며 사회를 발전시켜 왔다. 전통 문화에는 인간과 자연의 조화로운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한 삶의 지혜가 녹아있다. 이러한 환경 지혜는 앞으로의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삶의 양식과 가치관에 방향제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환경지혜를 통한 환경교육 사례

전통 가옥: 우리나라의 전통 가옥은 재료 자체의 자연적 성격, 공간 구조적 측면, 건강한 거주 생활 등에서 환경 친화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환경부, 2009). 분뇨를 거름으로 사용했던 뒷간,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 시킨 온돌도 환경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다.

 

공동체 의식: 전통사회에서 삶의 기반이었던 농사는 혼자서 운영?관리하기 어렵기 때문에 서로 힘을 모아 일하는 것이 효율적이었다. 상부상조의 생활 속에서 두레와 향약, 품앗이, 계 등의 다양한 조직을 통해 협력하며 생활해왔다.

 

전통 놀이: 자연물을 활용한 전통놀이는 누구나 재미있게 즐길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교육 방법이 될 수 있다. 전통놀이를 통해 창의성을 키우고 생각을 표현하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전통놀이 속의 환경친화적인 사고방식을 환경교육에 적용할 수 있다.

 

생활 도구: 자투리 천을 이용해 만든 조각보, 숨을 쉬는 옹기, 시원한 죽부인, 작은 동물까지 배려한 까치밥과 고수레 등은 환경교육의 소재로 활용할 수 있다.

 

참고문헌

남미리(2014) 속담을 통한 전통생태지식 수업이 초등학생의 유추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환영(2006) 도시민속학, 서울: 역락.

이도원(2004) 한국의 전통생태학, 서울: 사이언스 북스.

최종선(2005) 전통문화 속에 담긴 조상들의 환경지혜를 활용한 초등학교 환경교육 방안,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환경부(2009)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 참고교재 개발, 환경부.

Berkes, F. (1999) Sacred ecology: traditional ecological knowledge and management systems. London, UK: Routledge.

Drew, J. A. (2005) Use of Traditional Ecological Knowledge in Marine Conservation. Conservation Biology, 19(4), 1286-1293.

Gadgil, M., Berkes, F., & Folke, C. (1993) Indigenous knowledge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Ambio, 22(2/3), 151-156.

Kimmerer, R. W. (2002) Weaving traditional ecological knowledge into biological education: A call to action. BioScience, 52(5), 432-438.

Kurien, J. (1998) Traditional ecological knowledge and ecosystem sustainability: new meaning to Asian coastal proverbs. Ecological Applications, 8(sp1), S2-S5.

Nabhan, G. P. (2000) Interspecific relationships affecting endangered species recognized by O'odham and Comcaac cultures. Ecological Applications, 10(5), 1288-1295.

Raymond, C. M., Fazey, I., Reed, M. S., Stringer, L. C., Robinson, G. M., & Evely, A. C. (2010) Integrating local and scientific knowledge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1(8), 1766-1777.

Reid, A., Teamey, K., & Dillon, J. (2002) Traditional ecological knowledge for learning with sustainability in mind. Trumpeter, 18(1).

Shava, S. (2012) The representation of indigenous knowledge. In J. Dillon, M. Brody, R. B. Stevenson & A. E. Wals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on Environmental Education (pp. 384-393). London, UK: Routledge.

Snively, G., & Corsiglia, J. (1998) Discovering indigenous science: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Science Education, 85(1), 6-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