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 환경가치교육 |
---|---|
영문 | environmental value education |
■ 가치와 가치교육
Rokeach(1973)는 가치(Values)를 ‘특정한 행동 양식이나 존재의 궁극적 상태가 그 반대되는 것보다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더 바람직하다는 지속적인 신념’이라고 정의했다. 태도 개념과 비교하여 가치를 설명하면, 가치가 특수한 대상이나 사태를 초월한다면, 태도는 한 대상이나 사태에 초점을 맞춘다. 또한 태도가 좋다/싫다, 찬성한다/반대한다 등의 정서적 경향이라면 가치는 옳다/그르다 라는 평가적 속성을 갖는다. 태도가 보다 외현적이라면 가치는 보다 내재화된 체계라고 할 수 있다.
가치교육은 학습자가 올바른 방향으로 가치관을 형성하도록 돕는 일이다. 가치교육은 학습자로 하여금 이미 자명한 것으로 여겨지는 여러 가치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치 사이를 가로지르는 올바른 삶의 기준을 탐색하도록 하는 데 목표가 있다.
■ 환경교육에서 가치교육
환경교육은 인류가 직면한 환경 위기를 극복하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어 가는데 필요한 지식과 기능, 태도를 함양하고 이를 위한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는 인간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환경교육은 환경보전 또는 지속가능한 발전과 같은 일정한 가치지향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그렇다면 환경교육에서 이러한 가치지향을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 하는 질문이 제기될 수 있다.
이에 대해 환경교육이 환경보전과 같은 바람직한 가치를 지향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해당 가치를 학습자에게 주입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 존재한다. 가치를 주입하는 것은 교육이 아니라 교화나 교조의 영역에 속한다고 보는 것이다. 그러면서 학습자가 다양한 관점을 접할 수 있도록 돕고 스스로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강조한다. 이러한 입장에서는 교과서에 다양한 관점이 균형 잡히게 서술되어야 한다는 점, 교사 역시 중립적인 입장에서 학습자가 스스로 판단할 수 있게 지원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가치중립적인 교육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하며 교육이 보다 지속가능한 사회를 향해 변화하는 적극적 요소로서 잠재력을 발휘해야 한다고 보는 입장도 존재한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환경문제를 야기한 현재의 지속불가능한 체계에서 지속가능한 체계로 사회를 변화시키는데 환경교육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고 또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서는 가르치는 내용과 방법뿐만 아니라 교육 체계 전체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본다.
■ 가치교육 방법
환경교육에서 가치교육은 일반적인 가치교육 방법을 차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 예는 다음과 같다.
o 가치명료화: 학생에게 특정한 가치를 주입시키는 것이 아니라 그 자신의 가치를 명료하게 깨닫게 함으로써 가치의 혼란을 극복하고 일관된 가치체계를 형성하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다음의 가치화 과정을 제시한다.
①선택하기(자유롭게 선택하기, 대안들 중에서 선택하기, 결과를 고려한 후 선택하기)
②긍지를 갖기(자랑하고 소중히 여기기, 확언하기)
③행동하기(선택한 바대로 행동하기, 반복하기)
o 가치분석: 가치와 관련한 문제에서 합리적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가치 판단과 관련된 사실을 학습자가 직접 수집하고 검토하도록 돕는데 관심이 있다. 가치분석에서 사용하는 교수절차는 다음과 같다.
①가치문제를 확인하고 명료화하기
②알려진 사실을 수집하고 명료화하기
③알려진 사실의 확실성 평가하기
④사실의 타당성 명료화하기
⑤잠정적으로 가치결정하기
⑥결정에 수반된 가치원리 검사하기
■ 참고문헌
박정애(2008) 가치교육의 방법으로서의 간접전달. 윤리철학교육, 10, 77-95.
정세구(1979) 가치?태도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배영사.
조성화, 최돈형(2011) 환경교과서의 당위적 표현 분석을 통한 환경가치교육 방안에 대한 고찰. 환경교육, 24(3), 26-33.
주형선(2001) 청소년의 환경가치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Caduto, M. J. (1985) A guide on Environmental Values Education. [남상준 역(1993). 초중등학교에서의 환경가치교육. 서울: 배영사].
Rokeach, M. (1973) The nature of human values. New York: Free Press.
Scott, W. & Oulton, C. (1998) Environmental Value Education: an Exploration of its Role in the School Curriculum. Journal of Moral Education, 27(2), 209-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