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세보기

환경교육용어사전

기후변화교육

용어, 영문
용어 기후변화교육
영문 climate change education

일반적인 개념 정의

기후변화교육은 기후변화의 현상과 원리, 원인과 영향, 완화와 저감 등의 대응방식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구기후변화 문제 해결을 위한 바람직한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기후소양을 갖춘 시민을 양성하는 환경교육의 주제 접근 방식을 의미한다. 기후변화교육을 통해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등 기후변화 완화(mitigation)를 위한 개인적, 사회적 실천에 참여하고, 앞으로의 기후변화에 적응(adaptation)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를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인위적 기후변화를 야기하는 현재의 삶의 방식을 성찰하고 바람직한 소비 양식을 선택하며 기후 재난에 대응하는 방법 등을 익히게 된다.

지구온난화교육과 기후변화교육

국제적으로 기후변화교육은 온실효과’, ‘지구온난화’, ‘기후변화등을 가르치는 방식으로 논의되다가 2000년대 이후부터 ‘climate change education(기후변화교육)’이라는 표현이 본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학술적으로 기후변화교육이라는 용어를 본격적으로 사용한 시기는 2008년 한국환경교육학회 상반기 학술대회 학술대회를 즈음부터라고 볼 수 있다(최돈형과 김찬국, 2008). 비슷한 시기에 발행된 환경교육지에는 지구온난화교육프로그램에 관한 논문이 게재되었고(김용근과 김정인, 2008), 당시 기후변화 대응교육등이 함께 쓰였으나 2008년 이후 점차 기후변화교육으로 표현하게 되었다.

 

기후변화교육의 핵심개념

미국 아스펜 지구변화연구소(Aspen Global Change Institute: AGCI)는 기후변화교육의 다섯 가지 핵심 개념(key concepts)을 제시하였다(AGCI, 2003). 인간의 활동이 최근 발생하는 지구기후변화의 주요한 요인이라는 점과 함께 지구기후변화가 정상적인 지구시스템에서 발생하였다는 점을 포함한다. 아울러 지구기후변화를 인간이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인간권)가 지구 대기(대기권)에 미치는 영향에 국한하지 않고 지권, 수권, 생물권 등의 복잡한 상호작용과 함께 지구시스템의 측면에서 이해하도록 한다(김찬국과 최돈형, 2010).

지구기후변화는 정상적인 지구시스템에서도 발생한다.

최근 발생하는 지구기후변화의 주요한 요인은 인간 활동이다.

지구시스템은 복잡한 상호작용으로 연결되어 있다.

지구의 변화는 모든 생명체에 영향을 미친다.

지역적, 지구적 변화는 상호 연관되어 있다.

 

기후변화교육과 기후소양

미국 지구변화연구 프로그램(U.S. Global Change Research Program)이 개발한 기후소양(Climate Literacy)’에서는 기후 소양을 갖춘 시민(climate-literate citizens)을 자신이 기후에 미치는 영향과 기후가 자신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기후변화에 대한 의사소통과 의사결정이 가능한 사람으로 보았다. 아울러 기후를 이해하는 기본 원칙(essential principles)으로 다음의 일곱 가지 원칙을 제시하였다(US GCRP, 2009). 인간 활동이 기후시스템에 영향을 미치고 기후변화가 인간의 삶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강조하면서도, 지구의 기후시스템이 태양을 에너지 근원으로 움직이며 자연적 변화의 흐름이 있다는 점 역시 간과하지 않고 있다(김찬국과 최돈형, 2010).

태양은 지구기후시스템의 에너지 근원이다.

기후는 지구시스템의 구성 요소들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에 의해 조절된다.

지구상의 생명체는 기후에 영향을 받는 동시에 기후에 영향을 미친다.

기후는 자연과 인간의 영향을 통해 시간과 공간에 따라 변화한다.

기후시스템에 대한 이해는 관찰, 이론연구, 모델링 등을 통해 발전하였다.

인간 활동은 기후시스템에 영향을 미친다.

기후변화는 지구시스템과 인간의 삶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기후변화교육의 내용 체계

체계적인 기후변화교육의 필요성과 함께 기후변화교육의 내용 체계에 관한 연구가 다수 진행되었다(권주연과 문윤섭, 2009; 우정애, 2011; 김미란과 김찬국, 2014). 이 중 김미란과 김찬국(2014)은 기존 환경교과서와 1~4IPCC보고서 분석을 바탕으로 기후변화교육의 내용체계를 기후변화 현상과 원리, 기후변화의 원인, 기후변화의 영향, 기후변화의 대응의 4영역으로 제시하였다(16).

 

기후변화교육의 내용 체계

권주연과 문윤섭 (2009)

 

우정애 (2011)

 

김미란과 김찬국(2014)

1. 기후변화 과학

?기상과 기후

?지구 대기

?물 순환

?에너지와 기후

 

2. 기후변화와의 관계

?기후변화와 생태계

?기후변화와 인간 사회

 

3. 기후변화 대응

?개인 수준

?지역 사회 수준

?국가?국제적 수준

 

1. 기후변화 현상

?기후와 기후변화

?기후시스템과 지구온난화

?변하는 지구 환경

?불확실성

 

2. 기후변화 원인

?자연적 요인

?인위적 요인

?복사강제력

 

3. 기후변화 영향

?환경적 영향

?사회적 영향

?경제적 영향

?지역별 영향

 

1. 기후변화 현상과 원리

?날씨와 기후

?대기의 구성성분과 온실기체

?온실효과와 기후변화

2. 기후변화의 원인

?기후변화의 자연적 요인

?기후변화의 인위적 요인

3. 기후변화의 영향

?해수면 상승 / 기후·기상 변화

?생태계 영향 / 사막화, 물 부족

?식량생산 영향 / 건강·보건 영향

?생활 영향

4. 기후변화의 대응

?기후변화 대응의 특성과 필요성

?기후변화 완화

?기후변화 적응

 

기후변화교육과 연령 적합성

아동의 발달단계에 적합한 기후변화교육을 위해 미국 야생동물협회(NWF)는 북미환경교육학회(NAAEE)의 환경교육 가이드라인(Guidelines for Excellence in EE)을 바탕으로 초등(4학년), 중등(8학년), 고등학생(12학년)에 적합한 기후변화 관련 개념과 강조점을 제시하는 기후변화교육 지침(Guidelines for K-12 global climate change education)을 개발하였다(NWF, 2009). 기후변화교육은 연령 적합성을 고려하여 인지 발달과 문제해결능력의 발달에 맞게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하기 때문이다. 이 지침은 학습자가 위기의식을 갖도록 하는 것보다 스스로 판단하고 대응하는 실천역량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어린 학습자들에게 지나친 위기감을 주는 것은 환경교육의 원칙에 어긋나고 학습자에게 오히려 무력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Sobel, 2007).

 

기후변화교육의 방향

김찬국과 최돈형(2010)은 우리나라 기후변화교육이 기후변화 현상에 대한 과학적 이해나 온실기체 배출을 줄이는 개인적 노력에서 한걸음 나아가 다음 방향을 보다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였다.

기후변화 현상의 종합적인 이해 증진: 정상적인 자연 현상으로서의 기후변화와 현재 진행되는 기후변화를 구분하여 지구 시스템 내의 상호작용과 함께 종합적으로 이해하도록 해야 한다.

기후변화 대응 실천의 의미 탐색: 구체적인 기후변화 대응 행동을 제시하는 과정에서 왜, 어떻게, 어느 정도 그러한 실천 과정에 참여해야 하는지 스스로 사고하고 판단하여 자신의 실천이 갖는 의미를 확인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현 체제와 삶의 방식에 대한 성찰: 기후변화 문제의 해결을 위해 일반적으로 제시되는 개인의 행동을 강조하는데 그치지 않고 문제의 이면에 있는 현재의 체제나 삶의 방식을 돌아보고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도록 하여야 한다.

긍정적으로 변화의 과정에 참여: 부정적인 미래 예측과 관련하여서는 위기의 심각성을 강조하기보다 현재 자신의 수준에서 참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변화에 대한 긍정적 자신감을 갖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기후변화교육의 과제

김찬국과 최돈형(2010)은 우리나라 기후변화교육의 다양한 과제 중 일부를 제시하였다. 우선, 기후변화 현상은 상호연관성, 복잡성(complexity), 불확실성(uncertainty), 논쟁적 특성(controversy) 등을 갖고 있어 이러한 특성이 갖는 환경 현상을 학습자에게 교육적으로 제시하는 방식에 대한 연구가 요청된다. 또한 우리나라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기후변화소양(Climate Change Literacy) 등의 기후변화교육 지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기후변화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핵심 원리와 기본 개념을 제시하여 기후변화교육을 체계화해야 한다.

 

기후변화교육: 맺음말

지구기후변화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문제의식이 늘어나면서 지구기후변화를 둘러싼 상황에서 바람직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기후소양을 갖춘 시민을 양성해야 한다는 교육적 요구가 생겨났다. 기후변화교육을 통해 기후변화 완화를 위한 개인적, 사회적 실천에 참여하고, 앞으로의 기후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며, 이 과정에서 인위적 기후변화를 야기하는 현재의 삶의 방식을 성찰하고 바람직한 소비 양식을 선택하는 방법 등을 학습하게 된다.

 

유사 개념 비교 설명

에너지교육: 인류의 에너지의 이용이 지구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에너지교육과 기후변화교육은 내용과 실천상 연결되어 있고, 상대적으로 최근에 부각된 기후변화교육은 일정 부분 에너지교육에 뿌리를 두고 있다.

지구온난화교육, 기후변화대응교육 등: 기후변화교육과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지만 점차 기후변화교육이라는 표현으로 대체되고 있다.

기후변화적응교육: 기존의 기후변화교육이 완화 위주라는 점에서 적응(adaptation)에 초점을 둔 기후변화교육의 구체적인 방식이다.

 

참고문헌

권주연, 문윤섭(2009) 기후변화교육 목표 및 내용 체계 개발, 환경교육, 22(1), 68-82.

김미란, 김찬국(2014) 환경 교과서의 기후변화교육 내용 체계 및 내용 요소 재구조화, 환경교육, 27(2), 150-160.

김용근, 김정인(2008) 지구온난화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적 태도와 환경적 지식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환경교육, 21(2), 11-24.

김찬국, 최돈형(2010) 우리나라 기후변화교육의 방향에 관한 고찰. 환경교육, 23(1), 1-12.

우정애(2011). 중학교 과학과 기후변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5), 938-953.

최돈형, 김찬국(2008) 우리나라 기후변화교육의 현재와 방향에 대한 고찰, 한국환경교육학회 2008년 상반기 학술대회자료집, 32-36.

AGCI (2003) Ground truth studies teacher handbook, 2nd ed., Aspen Global Change Institute.

NWF (2009) Guidelines for K-12 global climate change education, National Wildlife Federation.

Sobel, D. (2007) Climate change meets ecophobia, Connect, Nov/Dec, 14-21.

U.S. GCRP (2009) Climate Literacy: The essential principles of climate sciences, 2nd ed., US Global Change Research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