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세보기

환경교육용어사전

의미 있는 삶의 경험

용어, 영문
용어 의미 있는 삶의 경험
영문 Significant Life Experience

정의와 역사

환경단체의 활동가나 회원, 또는 환경교육가들에게 현재의 자신을 만든 과거의 경험이 무엇인지 조사하는 일련의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사람들을 만든 경험, 의미 있는 삶의 경험을 조사한 것이다. SLE 연구의 시초는 Tanner(1980)가 시에라 클럽을 비롯한 미국의 4개 환경단체 활동가 45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로 거슬러 올라간다. Tanner는 환경단체 활동가를 환경을 지키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고 이를 실천에 옮기는 사람으로 평가하고 이들에게 현재의 자신을 만든 과거의 경험이 무엇인지 조사하였다. 그 결과 어린 시절 자연에서 보낸 경험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연구

ChawlaPalmer1990년대 후반 일련의 SLE 연구를 수행하였다. Chawla는 미국과 노르웨이의 환경주의자들을 대상으로 SLE를 조사하였는데 그 결과 자연에서의 경험이 가장 중요하게 나타났다. 이 외에 가족의 영향과 환경단체의 영향, 서식지 파괴나 오염과 같은 부정적 영향, 교육, 친구 등이 중요한 요소로 드러났다(Chawla, 1998).

PalmerSuggate(1996)는 영국 환경교육협회 회원을 대상으로 친환경적인 태도를 형성하는데 있어 중요하고 의미 있는 경험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어린 시절 자연과 시골에서 보낸 경험이 가장 많았고, 대학교육, , 가족, ‘침묵의 봄과 같은 책, 중등교육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연령이 높은 집단에서는 자연경험의 영향이 더 크고, 연령이 낮은 집단에서는 교육, 가족이나 친구, 매체 등의 영향이 더 크다는 결과를 발표했다(Palmer & Suggate, 1996).

Palmer는 이후 영국, 슬로베니아, 그리스의 성인을 대상으로 자신들이 생각하는 의미 있는 경험을 조사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어린 시절 자연에서 보낸 경험이 공통점으로 중요하게 나타났으며 이외에 대학교육과 가족, 오염 등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런데 이들 의미 있는 경험의 순서는 나라마다 차이가 있어서 영국에서는 아동기의 자연경험이, 슬로베니아에서는 가족이, 그리스에서는 오염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Palmer et al., 1998).

 

의미와 한계

SLE 연구는 환경교육의 목적을 환경적으로 바람직한 방향으로의 인간 행동의 변화로 설정하고 이를 실증주의적으로 증명하려는 친환경적 행동변화 모델의 한계를 지적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SLE 연구는 친환경적인 태도와 행동은 이를 유도하기 위해 고안된 특정 프로그램보다는 다양한 삶의 경험에서 나온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SLE 연구 또한 일정한 한계를 갖고 있다. Tanner(1988)SLE 연구가 “(환경적으로 책임 있는 행동을 하는)어른들을 만드는 데 중요했던 초기 경험을 발견한다면 환경교육가들은 젊은이들의 교육에서 그러한 경험을 그대로 재현해 낼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Tanner의 주장과 달리 환경보호 활동에 헌신하는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경험하는 것이 있을 수 있지만, 이것이 연령과 성별, 국적을 초월하여 누구에게나 동일하게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개인적 차이와 특성, 그리고 각자가 처한 삶의 맥락에 따라 의미 있는 삶의 경험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참고문헌

권영락(2005) 장소기반 환경교육에서 장소감의 발달과 환경의식의 변화: ‘시화호 생명지킴이생태안내자 양성과정을 사례로.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주형선(2005) 환경정체성 형성에 대한 전기적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Chawla, L. (1998) Life Paths into Effective Environmental Ac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9(3), 11-21.

Palmer, J. & Suggate, J. (1996) Influences and Experiences Affecting the Pro- environmental Behavior of Educators.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2(1), 109-121.

Palmer, J. A., Suggate, J., Bajd, B. & Tsalaki, E. (1998)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Development of Adults' Environmental Awareness in the UK, Slovenia and Greece.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4(4), 429-444.

Tanner, T. (1980) Significant Life Experiences: a New Research Area in Environmental Educ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11(4), 20-24.

Tanner, T. (1998) Choosing the Right Subjects in Significant Life Experience Research.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4(4), 399-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