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세보기

환경교육용어사전

환경교육 국제회의 또는 워크샵(베오그라드,트빌리시 등)

용어, 영문
용어 환경교육 국제회의 또는 워크샵(베오그라드,트빌리시 등)
영문 UN Environmental Education Conference and Workshop

베오그라드 회의

1975년에 구 유고슬라비아의 베오그라드에서 개최된 베오그라드 국제 환경교육 회의65개국, 96명의 환경교육 전문가가 참여한 워크숍으로 환경교육의 경향과 시각을 검토하고, 기본 지침으로서 베오그라드 헌장을 채택하였다. ‘베오그라드 헌장은 환경교육의 철학적 바탕, 평가, 환경 관련 행동 강령(Environmental Action)의 최종목표, 인간-환경과의 상호 관계 등을 밝히고 있다. 인간과 환경의 균형과 조화라는 측면을 강조하면서 빈곤, 오염, 문맹, 착취, 전제 등을 근본적으로 없애고, 세계 자원을 모든 사람의 이익이 되며, 모든 사람들의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도록 개발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명기하였으며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 전 세계적인 규모의 환경교육이 필요함을 분명히 하였다. 그리고 베오그라드 회의의 결과 유엔 환경교육 소식지인 Connect가 창간되었다.

 

트비리시 회의

1977년 구소련의 트빌리시에서 UNESCO-UNEP 주관으로 개최된 트빌리시의 환경교육에 관한 정부 간 회의는 세계 최초의 환경교육에 관한 정부 간 회의로 19771014일부터 26일 사이에 개최되었다. 회의의 폐막식에서 전폭적인 환호 속에서 채택된 트빌리시 선언은 환경교육이 세계 환경보전과 향상뿐만 아니라 세계 공동체의 건전하고 균형적인 발전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는데 만장일치를 보이고 있음을 명시하고 있다. 트비리시 회의가 시작된 1014일은 세계환경교육의 날이기도 하다.

각국은 환경교육의 개념, 영역, 역할을 분명히 하고, 환경교육을 환경문제의 일환으로서의 인구문제, 식량문제, 에너지 자원문제, 남북문제, 핵과 군비의 축소문제와 같이 인류의 당면과제로서 강력히 추진할 것을 합의하였으며 국가 수준과 국제 수준에서 적용할 수 있는 환경교육의 지침을 제공하였다. 이 트빌리시 회의는 환경교육의 기본 지침과 구체적 이행을 위한 41개의 권고를 채택함으로써 환경교육의 국제적인 공동 노력의 방향을 설정한 데에 커다란 의의가 있다.

 

유사 개념 비교 설명

1985UNESCO보고서에서 환경교육은 인류로 하여금 생물적, 지리적, 사회적, 경제적 및 문화적 제 요소들 간의 복잡한 상호 관련성을 이해하게 하고, 동시에 환경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며 환경의 질을 관리할 수 있는 지식, 가치관, 태도 및 기능을 습득하게 하는 것으로 환경교육의 목적을 정하였다.

인식-개인과 사회집단으로 하여금 전체 환경과 이에 관련된 문제에 대한 인식과 감수성을 갖도록 도와준다.

지식-개인과 사회집단으로 하여금 전체 환경과 이에 관련된 문제에 대한 다양한 경험과 기본적인 이해를 얻도록 도와준다.

태도-개인과 사회집단으로 하여금 환경의 보호와 개선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려는 동기 및 환경에 대한 가치와 관심을 갖도록 도와준다.

기능-개인과 사회집단으로 하여금 환경문제를 확인하고 해결하는 기능을 습득하는 것을 도와준다.

참여-개인과 사회집단으로 하여금 환경문제의 해결과정에 능동적이며 책임있게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참고문헌

최돈형(2007)환경교육학입문, 원미사

박태윤외 5(2003), 환경교육학개론, 교육과학사

최선진 외 22(2002). 21세기 한국의 환경교육, 교육과학사

세계환경교육의 날 https://weecnetwork.org/world-environmental-education-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