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 환경태도 |
---|---|
영문 | environmental attitude |
■ 개념에 대한 정의
Fishbein & Ajzen(1974)의 정의에 따르면, '태도(attitudes)는 “특정 대상에 대하여, 호의적 또는 비호의적으로, 일관성 있게 반응하려는 후천적으로 체득된, 경향성(predispositon)” 이다. '태도'의 정의를 바탕으로 '환경태도(Environmental Attitudes)'는 보통 '자연환경에 대한 호의적 또는 비호의적으로 반응하는 심리적 경향성'으로 정의되며, 국내에서 환경 친화적 태도, 친환경적태도, 환경에 대한 태도 등의 용어로 사용되고, 외국에서는 Environmental attitudes, pro-environmental attitudes 등으로 혼용해 사용되고 있다.
환경태도는 REB(Responsible Environmental Behavior)이론, CB(Citizenship Behavior)이론, 친환경행동이론 등의 환경행동이론 등에서 환경행동을 설명하는 변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환경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강력한 변인으로 환경태도가 보고된 바 있다(Hines et al., 1986/1987)
■ 환경태도를 보는 관점
환경태도를 보는 관점은 태도의 대상에 따라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Hines et al., 1986/87). '일반적인 환경에 대한 태도'로 보는 관점에서는 환경태도를, '환경보존태도'와 '환경활용태도'의 두 내용 영역으로 나눌 수 있는 것으로 보았다. '환경보존태도'는 '자연과 다양한 생물종을 본래 상태 그대로 보존하고 인간의 이용과 변형으로부터 보호해야 한다는 일반적 믿음'을 뜻하며, '환경활용태도'는 '자연과 자연현상, 생물종이 인간의 목적을 위해 이용되고 변형되는 것이 옳고, 적절하며, 필요하다는 일반적 믿음'을 의미한다(Milfont & Duckitt, 2010).
다음으로, '특정 환경행동에 대한 태도'로써 환경태도를 보는 관점으로, 에너지, 소비, 재활용, 물, 음식물 쓰레기 등 특정한 주제에 대해 인간이 취하는 행동에 대한 태도를 의미한다.
한편, 환경태도의 구성요소는 전통적인 삼원론적 태도모형에 기반한 관점과 내용 영역에 따른 통합적 관점에 따라 다르게 논의된다(Milfont & Duckitt, 2010). 먼저, 삼원론적 태도모형에 기반한 관점에서는, 환경태도를 인지, 정의, 행동의 요소로 구성된 것으로 본다.
송달용과 송해균(1977)은 환경태도를 비교적 지속적으로 견지하고 있는 환경에 대한 긍정적인 인지적, 정의적 및 행동적 경향성으로 정의하였고, Schultz 외(2004)는 환경과 관련된 활동 및 이슈에 대해 사람이 가지고 있는 믿음, 정서(affect), 행동의도의 종합으로 정의하는 등 인지적, 행동적 영역까지 포함하기도 하였다. 반면, 전통적인 삼원론적 관점과는 다르게 환경태도를 내용 영역으로 구성된 것으로 보는 관점도 있다. 환경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많이 활용되는 NEP 측정도구는 환경태도를 자연의 권리, 생태위기, 인간면제주의의 세 영역으로 구분하여, Milfont & Duckitt(2010)은 보존과 활용의 두 영역으로 환경태도의 개념 및 구성차원을 제시하였다.
■ 환경태도 측정 도구
환경태도를 측정하는 도구는 많이 있지만, 세 가지 종류가 넓게 쓰이고 있다. 그것은 바로 생태척도(Maloney &Ward, 1973), 환경개념척도(Weigel & Weigel, 1978), 새로운 환경 패러다임(NEP)척도이다(Dunlap, Van Liere, Mertig, & Jones, 2000). 이 세 가지 척도는 믿음, 태도, 의도와 행동과 같은 개념의 다양한 현상 또는 표현을 측정한다. 또한 오염과 천연 자원과 같은 다양한 환경 주제에 대한 개념을 조사한다(안지은, 2012).
■ 유사 개념 비교 설명
많은 연구자들은 “환경관심(environmental concern)”과 “환경태도”를 유의어로 사용하기도 하는데 환경관심은 환경 친화적 의도 혹은 행동과 상당히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환경오염에 대한 태도와 환경 친화적인 생활에 대한 태도 등이 포함된다. Dunlap과 Van Liere(1981)는 오염, 인구, 자연자원의 개발 등과 같은 여러 환경적 이슈에 대한 사람들의 태도를 특별히 환경 관심도라고 하여 막연한 환경에 대한 관심이 아니라 쟁점에 대한 태도로 환경관심을 구체화하였다.
■ 참고문헌
안지은(2012) 글쓰기를 활용한 환경미술 감상수업이 초등학생의 환경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Dunlap, R. E. & Van Liere, K. D., (1981) Environment concern does make a difference how it's measured. Environment and Behavior, 13(6), 651-676.
Fishbein, M., & Ajzen, I. (1974) Attitudes towards objects as predictors of single and multiple behavioral criteria. Psychological Review, 81, 59~74.
Hines, J. M., Hungerford, H. R., & Tomera, A. N.(1986/87) Analysis and synthesis of research on responsible environmental behavior: A meta-analysis,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18(2), 1~8.
Maloney, M. P. & Ward, M. P. (1973) ecology: Let’s hear from the people: An objective scale for the measurement of ecological attitudes and knowledge. American Psychologist, 28(7), 583-586.
Milfont, T. L., & Duckitt, J. (2010) The environmental attitude inventory: A valid and reliable measure to assess the structure of environmental attitude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30(1), 80~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