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의
환경문제 해결 모형은 실제 환경문제와 쟁점 해결에 참여하는 행동 지향적이고 경험에 기반한 문제 해결 모형이다. 다양한 관점과 견해(자연적, 인공적, 기술적,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 도덕적, 심미적인 측면과 지방적, 지역적, 국가적, 국제적인 견해)를 포함하고 있는 환경 쟁점이나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 효과적인 교수·학습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환경문제 해결 모형을 교육에 적용하게 되면, 교수자가 학습자로 하여금 특정한 환경문제를 선정하고 이를 해결해 갈 수 있는 경험을 하게 한다. 실제 환경문제를 해결해 가는 경험을 통해서 학습자는 다양한 지식을 습득하고 정보를 가공하며 스스로 가치판단을 하게 된다.
환경문제 해결 모형은 특정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에서 학습자가 경험하게 되는 교육적 요소에 초점을 맞춘다. 환경문제 해결 모형은 단일한 방식의 모형이 아니고 학습자에게 얼마만큼의 자율성을 주느냐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유형
Hungerford의 경우에는 환경문제 해결 모형을 교사 주도적으로 구조화해서 진행하는 모형을 주장한 반면, Robottom의 경우 학습자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하고 비구조화된 프로그램으로 진행하는 모형을 주장한 바 있다.
그림 1. 환경문제 해결 모형 비교
환경문제 해결 수업 모형은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 잘 반영되어야 하며, 학습 상황에 유연하게 적용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환경문제 해결 수업 모형은 학습자가 한 번 경험을 해 보는 것이기 때문에 이후에 학습자 스스로 반복적으로 모방하고 실천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어 있어야 한다.
환경문제 해결 모형은 환경교육 모형 중 비교적 초기 모형으로, 최근에는 환경 쟁점 분석 모형이나 프로젝트 학습 모형 등으로 발전해 가고 있는 경향이 있다.
■ 유사 개념 비교 설명
문제 해결 모형은 환경 교육 영역뿐 아니라 다른 교육 영역에서도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데, 최근 들어 교육 분야에서 주목 받고 있는 방식으로 창의적 문제해결(Creative Problem Solving, CPS)모형이 있다.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이란 문제 상황에 대하여 발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를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문제를 발견하고 관련 자료와 정보를 참고하여 구체적인 문제로 진술하고, 이에 대한 창의적이고 다양한 아이디어를 생성하여 해결안을 도출하도록 유도하는 사고의 과정을 말한다. 이러한 창의적 문제 해결 모형 역시 환경교육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 참고문헌
강문봉(1997) 수학과 문제해결 수업 모형에 대한 검토. 과학교육논총 9, 190-205.
방선희(2010) 창의적 문제해결 기반 수업모형 개발 : 매체언어교육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과학연구 4(1), 49-63.
이향미, 최돈형(2007)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구조화된 수업 모형과 비구조화된 수업 모형의 적용 효과 문석. 환경교육 20(2), 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