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세보기

환경교육용어사전

환경교육 교구

용어, 영문
용어 환경교육 교구
영문 Environment Education Equipments

환경교육 교구의 정의와 종류

환경교육 현장에서 환경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많은 물적 자료를 활용한다. 이러한 물적 자료의 종류와 수는 다른 어떤 교육보다도 많으며, 이러한 교육에 필요한 물적 자료를 교육적 용구라고 하며, 흔히 교구라고 한다.

환경교육 교재를 환경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적 내용이라고 하고, 환경교육 교구를 물적 자료라 하면, 교재와 교구를 구별할 수는 있으나 동일한 것으로 보는 관점에 따라 교재 또는 교구가 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환경 교과서는 일반적으로 교재라 불리는데, 교재의 경우에는 교과서의 내용이고, 교구의 경우에는 내용과는 관계없이 종이를 묶은 책으로 지칭된다.

환경교육 교재에는 추상적인 것을 대상으로 한 교재에서 구체적인 것을 대상으로 한 교재까지 그 범위가 넓다. 환경교육을 위한 실험실습, 조사학습, 체험학습 등에 사용되는 교구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일반용 교구, 직접 경험용 교구, 간접 경험용 교구, 준비용 교구 등 4가지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환경교육 교구의 정의와 종류

종류

내용

일반용 교구

일반적으로 교실, 실험실, 야외 교육장에 놓은 비품으로 교탁, 학생용 책상, 실험대, 의자, 칠판, 책장 등

직접 경험용 교구

관찰이나 실험을 통해 직접 경험을 시키기 위한 기계, 기구 등으로 야외 관찰 조사 도구, 표본, 모형, 실험실습 기계 기구 등(보드게임, 망원경, 확대경, 식물표본, 곤충표본, 채집망, 솔방울 등)

간접 경험용 교구

직접 실물의 관찰이 어려운 경우 모형을 통한 간접 경험용 교구로 시청각 교구 또는 교육 기구류 등(TV, 컴퓨터, OHP, 스크린 등)

준비용 교구

수업에 교구로 직접 사용되는 것은 아니지만, 교재나 교구 작성에 사용하는 준비용 교구로 카메라, 영상촬영기, 인쇄기 등

 

환경교육을 위해 활용되는 공간으로서의 환경교육 교수학습 시설은 흔히 환경교육장으로 불리우며, 대부분 실내보다는 야외공간에 위치하며 환경에 대한 관심과 인식의 변화를 증진할 수 있는 장소를 말한다. 이러한 환경교육장은 넓은 의미로 환경교육 교구에 포함할 수 있는데, 활동 목적에 따라 자연관찰학습, 자연관찰·답사, 방문·견학, 체험·참여학습, 역사·문화학습 등의 유형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우리나라 환경부에서는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직접적인 관찰과 체험에 학습자를 참여시키고 환경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고자 교육과정과 연계한 환경교육 교구를 개발하고, 이를 교육현장에 활용할 수 있도록 힘쓰고 있다.

 

유사 개념 비교 설명

교육 활동에서 학습자의 학습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각종 매체를 활용하는데 이를 일반적으로 교육자료((educational materials)라고 하며, 이와 비슷한 용어로 교재·교구, 교수매체, 교수학습 자료 등이 혼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환경교육계에서는 이러한 의미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용어로 교구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참고문헌

박태윤, 최석진, 이동엽, 정완호, 최돈형, 노경임(2002) 환경교육학개론. 교육과학사.

양재식, 남상준(2003) 환경교육 교재의 적합성 분석. 환경교육, 16(2), 77-85.

정진우, 양일호, 정철(2002) 교원 양성 대학의 과학교재론 교재 개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