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세보기

환경교육용어사전

환경인식

용어, 영문
용어 환경인식
영문 environmental awareness

환경교육 목표로서의 환경인식

환경인식은 트비리시 권고안에서 제시하고 있는 환경교육의 다섯 가지 목표 중 하나이다. 트비리시 권고안에서 제시하고 있는 인식 목표는 개인과 사회집단으로 하여금 전체 환경과 이에 관련된 문제를 감지하고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라고 설명하고 있다(UNESCO, 1977).

환경부에서는 매 5년마다 대국민 환경의식조사를 하고 있다(환경부, 2015). 여기에서 환경의식은 환경인식과 어떻게 다른가? ‘환경의식조사라는 이름으로 무엇을 조사하는 것일까? 환경의식 조사에서는 환경의식과 환경인식을 구분하고 있으며, ‘환경인식과 관련해서는 환경에 대한 이미지, 환경 상태에 대한 평가, 환경과 관련된 경험, 환경 관련 용어 이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에 비해 환경의식과 태도와 관련된 질문은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 환경보전의 중요성, 환경보전과 경제성장의 관계를 포함하고 있다.

 

인식이란?

인식(認識, awareness)이란 무엇인가? 인식은 정의하기가 까다로운 용어 중의 하나이다. 왜냐하면 인식은 생각이나 느낌 어느 한쪽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생각과 느낌의 상호작용의 과정이나 결과를 함께 나타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사전적으로(Merriam-Webster Dictionary, 2002) 인식(aware)이란 무언가에 대한 개략적으로 알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단순히 무언가에 대해 알고 있다는 것을 넘어서 다음과 같은 다양한 뜻도 함께 가지고 있다. 먼저 aware는 무언가에 주의를 기울이거나 혹은 경험한 것으로부터 무언가를 추론해내는 것을 의미한다. 세분하면, 직접적인 체험을 통해 특정한 지식을 얻게 되는 것, 감정적 상태 또는 성질을 직접적이고 직관적으로 감지하는 것, 무언가에 주의를 집중하거나 이미 집중되어 있는 상태, 무언가에 대해 날카로운 감수성을 갖고 있거나 무언가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음을 나타낸다.

북미환경교육협회(NAAEE, 2019)에 따르면 인식(awareness)이란 어떤 대상에 대한 인상(impressions)의 감각을 통한 지각, 처리, 해석을 포함하여 대상, 대상의 질, 대상과의 관계를 알아차리게 되는 과정"이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볼 때, 인식이란 어떤 대상의 1) 존재 여부, 2) 존재 상태에 대한 평가, 3) 변화의 크기와 방향에 대한 이해 4) 직관적 수준의 인과관계등에 주의를 기울이고 느끼거나 체험적으로 알게 되는 과정 또는 그런 상태를 의미한다.

환경인식이란?

따라서 환경인식이란 환경과 환경문제의 존재 여부, 존재 상태, 변화의 크기와 방향, 특히 환경문제의 인과관계에 대해 주의를 기울이고 있거나, 느끼거나, 혹은 체험적으로 알게 되는 과정 또는 그런 상태라고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자원에 대한 인식 조사를 한다면 물 부족이라는 상황의 존재 여부, 그런 상황의 심각성, 물 부족의 원인과 해결책, 앞으로의 전망 등이 기본적으로 인식의 내용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인식은 환경 소양의 초기단계로서 인지적으로 보았을 때 체계적이고 상세한 지식에는 미치지 못한 상태이다. 또한 정의적으로 보았을 때 반복적인 체험이나 경험을 통해 가치나 신념을 형성하기 이전 단계이기도 하다.

보다 추상적으로는 인간과 자연 사이의 상호의존적 관계가 존재하는지, 존재한다면 어떤 방식으로 존재하는지, 그런 관계는 100년 전에 비해 어떻게 다른지, 왜 그런 변화가 나타나게 되었는지, 그런 관계에 관심이 있는지에 대해 응답자가 나타내는 반응의 명확성, 구체성, 타당성 등을 검토해 볼 수 있다. 특히 여기서 안다는 것은 주로 직접적인 체험에 의존하는 주관적인 앎을 나타내며, 정답 시비는 별로 중요하지 않다.

 

환경인식의 중요성

무언가의 존재를 인식했다는 것은 그것에 변화 또는 문제가 생겼음을 암시한다. 예를 들어, 숨을 쉬면서 공기의 존재를 인식한다는 것은 공기가 매캐하거나 부족해서 숨쉬기가 불편한 상황이 발생했음을 암시한다. , 우리는 존재하는 모든 것들이나 벌어지는 모든 사건에 주의를 기울이기는 어렵기 때문에 무언가를 지각하거나 포착했다는 것 자체가 이미 어떤 낯설거나 문제적인 상황이 벌어졌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우리는 보다 각별하게 주의를 기울이고 몰입함으로써 그동안 지각하지 못했던 것을 발견할 수 있고 작은 변화도 포착할 수 있다. 지각한다는 것 자체가 이미 인식주체의 각성이나 평가의 결과일 수도 있다.

인식의 형성이란 그게 나와 어떤 관계인가 또는 어떤 문제인가?’라는 질문과 연결되어 있다. (John Fien, 1999) 어떤 대상에 대한 인식의 결과로 대상에 대한 특정한 태도가 형성될 수 있다. 대상에 대한 태도는 그 이후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에 대한 첫인상이 좋으면 호감을 가지고 그 사람에 대해 친화적인 행동을 보이거나 더 깊은 관계를 맺기 위한 행동으로 이어지지만, 첫인상이 나쁠 경우 이후의 행동을 망설이거나 회피할 수 있다.

환경교육은 환경에 대해 학습자로 하여금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자신과의 관련성을 느끼도록 도와줌으로써 이후의 학습과 실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대중매체의 시대에 많은 학습자들은 직접적인 체험보다는 대중매체 등의 정보를 바탕으로 환경에 대한 태도를 형성할 위험이 있고, 자기가 살고 있는 마을이나 지역보다는 동떨어진 지역에 대해 더 가깝게 느낄 수도 있다.

 

유사 개념 비교 설명

앞서 환경부의 환경의식조사에서도 나타난 바와 같이 환경의식과 환경인식은 혼용되고 있으며 명확하게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 구분한다면 환경인식에서는 환경이 체험을 바탕으로 하는 무엇이 있고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를 지각하고 이해하는 것에 가깝다면, 환경의식은 그런 대상이나 사건에 대해 인식 주체의 관심, 평가나 태도에 더 초점이 있다.

 

용례

. 시골에 살다가 도시 지역을 방문했을 때 목이 따갑고 기침이 나오려는 것을 느끼고 공기 오염을 인식하다.

. 저수지가 녹색으로 변한 것을 보고 수질오염이 심해지고 있음을 인식한다.

 

 

참고문헌

환경정책평가연구원(2015, 2016, 2017, 2018) 2015 국민 환경의식조사 연구. 환경정책평가연구원.

Fien, J. (1993) Education for the Environment: Critical curriculum theorising and environmental education. Geelong: Deakin University.

Merriam-Webster Dictionary (2002)

https://www.merriam-webster.com/dictionary/awareness?src=search-dict-hed

NAAEE (2019) Guidelines for Excellence K?12 Environmental Education For educators, administrators, policy makers, and the 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