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세보기

환경교육용어사전

생태시민성

용어, 영문
용어 생태시민성
영문 ecological citizenship

생태시민성 개념의 형성

생태시민성은 18-19세기 유럽을 중심으로 탄생한 개념인 시민성(citizenship)에서 출발한다. 시민성은 사회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의 권리와 의무를 갖는 시민이 갖는 특징적 가치관과 사고방식을 일컫는다. 이러한 시민성을 환경 분야에서 주목하고 이에 접목시킨 것이 생태시민성으로, 유사한 용어로 환경시민성(environmental citizenship), 녹색시민성(green citizenship), 지속가능시민성(sustainability citizenship), 환경적으로 합리적인 시민성(environmentally reasonable citizenship) 등이 있다. 생태시민성에 대한 정의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생태적으로 건강하면서도 민주적인 시민이 갖는 특성이나 자질, 또는 전통적 시민성에 기초하되 생태적 틀로 세상을 이해함으로써 환경문제 해결에 기여하도록 하는 자질이나 태도 등으로 정리되어 왔다.

생태시민성은 시민성의 개념을 환경적으로 접목시킨 것이다. 전통적으로 시민성에는 자유주의 시민성과 시민공화주의시민성이 존재한다. 이들은 권리를 중요시하느냐, 책임을 중시하느냐의 차이가 있지만 공통적으로 공적 영역에서의 활동을 강조하고 국가를 경계로 시민성의 발휘에 차이를 두며 상호호혜적(mutually reciprocal) 가치를 갖는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는다.

 

돕슨의 생태시민성

돕슨(Dobson)은 전통적인 시민성과 차별되는 생태시민성을 주장한다. 그에 따르면 생태시민성은 궁극적으로 도달해야 하는 후기세계시민주의를 이끄는 시민성이다. 그가 구분한 전통적인 시민성(자유주의, 시민공화주의)과 후기세계시민주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전통적인 시민성(자유주의, 시민공화주의)과 후기세계시민주의 특징

자유주의

시민공화주의

후기세계시민주의

권리/권리부여 (계약적)

의무/책임 (계약적)

의무/책임 (비계약적)

공적 영역

공적 영역?

공적 및 사적 영역

덕성 중립

남성적 덕성

여성적 덕성

영토성 (차별적)

영토성 (차별적)

비영토성 (비차별적)

 

이러한 분류에 기초하여 돕슨(Dobson)은 전통적 시민성과 구분되는 생태시민성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비영토성이다. 이는 생태시민성이 공간적, 시간적으로 경계의 구분 없이 적용됨을 의미한다. 현재의 환경문제 또는 이와 관련된 인간 활동의 결과는 국가의 경계, 시간의 경계를 넘는다. 따라서 생태시민성은 지구 반대편에 존재하는, 그리고 미래에 존재할 모든 생물종을 고려한다는 비영토성을 갖는다.

둘째, 비호혜적인 책임과 의무의 강조이다. 생태시민성은 권리보다는 책임과 의무를 강조하며, 그것은 계약에 의하거나 상호호혜적인 것이 아니라 자발적으로 일어남을 의미한다.

셋째, 덕성 기반이다. 생태시민성이 발현되는 동기는 계약이나 법률적 제재 등에 의한 것이 아니고 덕성이라는 것이다. 여기서의 주요한 덕성은 정의와 배려이다.

넷째, 공적 및 사적 영역의 강조이다. 생태시민성은 사적 영역에서의 행동이 공적 영역에 영향을 미치므로, 공적 영역 만큼이나 사적 영역에서의 활동이 중요함을 강조한다. 따라서 생태시민성은 개인의 일상적인 삶이 생태적이 되는 것에 관심을 기울인다.

정리해 보면, 생태시민성은 환경 분야와 접목되어 생태적 틀로 세상을 이해하려는 새로운 시민성으로서, 정의와 배려라는 덕성을 동기로 하고 공간과 시간의 경계를 넘어 다른 존재에 대해 책임 있는 공적 및 사적 활동을 하려는 자질이라고 할 수 있다.

궁극적인 목적과 지향을 고려하면 생태시민성은 환경교육이 적극적으로 수용해야 할 개념이다. 이를 교육에 접목시키려면 덕성 및 가치, 지식, 기능, 태도라는 영역에 생태시민성의 요소를 접합시킬 필요가 있다. 여기에는 정의와 배려의 덕성 및 가치, 생태학적이고 정치적인 지식, 비판적 사고와 성찰, 의사소통의 기능, 사회 참여 및 개인 행위 태도가 포함된다.

 

참고문헌

곽준혁(2009) 시민적 책임성: 고전적 공화주의와 시민성, 대한정책학회보, 16(2), 127-149.

김병연(2011) 생태 시민성 논의의 지리과 환경교육적 함의,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9(2), 221-234.

김병연(2018) 생태시민성과 페다고지 : 에코토피아로 가는 길, 북큐브네트웍스,

김희경(2012) 생태시민성 관점에서 본 에코맘과 교육적 함의, 시민교육연구, 44(4), 55-75.

김희경, 신지혜(2012) 생태시민성 관점에서의 환경교과 분석,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0(1), 125-141.

박순열(2010) 생태시티즌십(ecological citizenship) 논의의 쟁점과 한국적 함의, 환경사회학연구, 14(1), 167-194.

한국교육연구소시민교육분과(1996) ‘시민성의 이념과 시민교육의 과제, 한국교육연구, 3(1), 180-193.

허수미(2010) 시민사회의 특성과 시민성 교육의 방향, 사회과교육연구, 17(4), 183-198.

Dobson, A. (2003) Citizenship and the Environment,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