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 장소기반 환경교육 |
---|---|
영문 | place-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
자연을 접할 기회가 적어진 현대사회의 학습자들에게 자연은 무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그리고 학교 교육에서는 추상적이고 지식 중심적인 교수-학습 활동으로 인해 학습자 주변의 환경에 대해서 올바르게 인지하지 못하는 상황도 생겨났다. 이를 위해 학습자가 위치한 장소에 대해 탐색하여 문제점을 찾고, 이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장소기반 환경교육에 주목하게 되었다.
■ 장소기반 환경교육의 특징
환경문제는 장소와 지역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며 이에 따른 해결 방법도 현장의 맥락을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장소기반 교육은 자연환경뿐 아니라 지역의 사회, 문화, 경제 등까지 확대?통합하여 다루는 환경교육으로서의 전통을 이어왔다. 장소기반 환경교육은 학교와 주변, 지역사회를 연계하여 교육 내용을 확대해왔고, 권위적 단일 문화보다는 교육 실천에 있어 다양한 내용과 방법을 추구하여 학교 개혁을 이루려고 했다(Sobel, 2004).
장소기반 환경교육은 장소를 교육의 공간으로 활용하여 장소의 교육적 가치를 적극 활용한며, 종래의 전통적인 교실 중심의 교육과 달리 지역사회를 배움의 원천으로 삼는다는 면에서 차별적이다(윤옥경, 2016). 학습자들은 장소를 통해 실제 세계를 직접 경험하고 지역사회의 환경문제 해결 과정에 참여한다.
나아가 장소기반 환경교육은 학습자의 일상적 삶의 경험이나 체험을 통해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기때문에 장소에 대한 애착이 발달하게 되면, 행동할 수 있는 기능을 습득하게 되고 개인은 자신의 지역사회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된다는 것을 가정한다(Smith, 2002). 장소기반 환경교육은 자연적?사회적 환경에 대한 학습을 가능하게 하고 이는 지역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Wither, 2000).
■ 장소기반 환경교육의 의의
사람들은 장소에서의 경험을 통해 장소로부터 배우고 주변 환경 및 사람들과 관계 맺는다. 그 과정에서 개인과 집단은 장소를 통해서 정체성을 형성하고, 사람은 다시 장소의 정체성을 형성하기도 한다. 결국 장소와 문화, 정체성은 깊이 연결되어 있다(Greenwood, 2013).
o 일상성 : 환경교육은 우리 주변의 일상생활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하는데 이는 바로 장소에서 시작되어야 함을 뜻한다(권영락과 황만익, 2005). 장소는 일상생활의 경험이 일어나는 장으로 경험이 가진 맥락적 차원에 중점을 두기 때문이다. 따라서 장소에 기반한 교육은 학습자의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경험을 학습자 스스로 이해할 수 있게 하며, 학습자의 사회적?공간적 맥락과 관련된 경험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o 연계성 : 장소는 과거의 역사적 경험을 통한 의미와 가치가 부여되어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과거의 경험에 또 다른 활동이나 사건들이 부가되어 새로운 의미를 형성하기도 하고 과거의 경험이나 의미가 강화되기도 한다(권영락과 황만익, 2005). 장소를 통해 우리는 시간적 차원에서 인간과 자연이 연계되어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o 현장성 : 학습자들은 환경이나 자연에 대한 직접적인 경험의 기회를 장소에서 획득할 수 있으며, 이는 일상성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장소는 심미적 가치, 윤리적 가치, 경제적 가치 등 다양한 가치가 총체적으로 반영되어 있다. 따라서 장소에 기반한 환경교육은 다양한 가치를 접할 수 있으며 통합적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 장소기반 환경교육의 사례
장소기반 환경교육의 사례는 초등학생에서 성인까지, 형식 환경교육에서 비형식 환경교육에 이르기까지 대상과 방법이 다양하다. 장소기반 환경교육의 사례로는 동네 환경 지도 제작 활동(윤옥경, 2010), 환경 오리엔티어링 활동(김명기와 최돈형, 2010), 생태 탐사 활동(정해림과 임미연, 2015), 환경 봉사 활동(전보애, 2010), 지역 하천 및 공원 관련 활동 등이 있다.
■ 참고문헌
권영락, 황만익(2005) 장소감의 환경교육적 의의, 환경교육 18(2), 55-65.
김명기, 최돈형(2010) 예비 환경교사를 위한 장소기반 환경 오리엔티어링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환경교육, 2010년 상반기 정기학술대회 89-91.
윤옥경(2010) 환경지도 제작활동의 환경교육 및 지리교육적 함의-초등학교 학생들의 동네 환경지도 제작활동을 중심으로, 지리환경교육, 18(2) 121-133.
윤옥경(2016)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교양과목에서 장소기반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실천, 지리환경, 24(1) 139-150.
전보애(2010) 지리적 탐구방법과 통합된 봉사학습: 지역사회중심 환경교육의 실행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지리환경교육, 18(3) 323-337.
정해림, 임미연(2015) 장소기반 환경교육에서의 환경의식과 장소감 변화: 거주지역 생태탐사 프로그램을 사례로, 2015년 하반기 정기학술대회 191-192.
Greenwood, D. (2013) A critical theory of place-conscious education.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on environmental education, 93-100.
Smith, G. A. (2002) Place-based education. Phi Delta Kappan, 83(8), 584.
Sobel, D. (2004) Place-based education: Connecting classroom and community. Nature and Listening, 4, 1-7.
Wither, S. (2000) Local curriculum development and place-based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Den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