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세보기

환경교육용어사전

환경가치수업

용어, 영문
용어 환경가치수업
영문 teaching on environmental value

가치명료화 교수모형

가치명료화는 개인이 스스로의 가치를 선택하고, 존중하며, 선택한 가치를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으로 실천하면서 더욱 명료화하고 견고화되는 과정으로, 자신의 가치를 명료하게 깨닫게 함으로써 가치의 혼란을 극복하고 일관된 가치체계를 형성하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표적인 교수모형은 Kirschenbaum(1973) 모형, HoweHowe(1975) 모형, Raths (1978) 모형 등이 있다.

 

가치명료화 교수모형

구분

Kirschenbaum모형

(1973)

HoweHowe모형

(1975)

Raths 외 모형

(1978)

선택

느낌의 단계(내부경험의 개방)

사고의 단계(비판적, 논리적, 창의적 사고력의 동원과 인지적 기술의 활용)

의사소통의 단계(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

선택의 단계(대안의 선택, 결과의 고려, 전략의 선택, 자유로운 선택)

분위기 형성단계(개방적, 의사소통의 원활, 촉진적 관계 형성)

자아개념형성단계(자아인식)

가치관의 인식단계(소중한 것과 존중하는 것 인식, 공적인 확신 예감)

가치선택의 단계(여러 대안으로부터의 자유로운 선택)

자유로운 선택

여러 대안으로부터

선택

심사 숙고한 후의 선택

존중

 

 

존중 공언

행동

행동화의 단계(기술적이며 신중한 행동의 수행, 행동의 유형화 및 지속화)

가치관의 행동화 단계(개인의 목표 설정, 선택한 가치의 실천)

선택행위에 따르는 실천

반복

 

 

반복

특징

가치화과정에서 감정의 역할을 중시하여 느낌과 의사소통의 단계를 설정

가치와 자아와의 관계를 인식하고 공감적인 분위기 형성 강조

가치의 7가지 기준에

충실한 가치화 단계설정

 

가치분석

조용개(2009)는 환경윤리교육의 목표를 인간, 환경, 환경과의 상호작용 인식과 환경과 생명의 상호 관계 이해, 분석을 바탕으로 환경친화적 행동양식을 선택, 실천, 내면화함으로써 생태중심 생명가치관을 확립하고자 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에 대해 교수-학습 모형을 1단계: 환경문제에 대한 사실 파악(인간, 자연, 환경과의 상호작용 인식) ? 2단계: 환경현상에 대한 인과분석(환경과 생명간의 상호관계를 이해하고 분석) ? 3단계: 환경문제 해결에 대한 자발적인 참여(환경친화적 태도 및 행동 양식의 선택과 실천) ? 4단계: 환경친화적 가치 내면화(생태중심 생명가치관을 확립)의 과정으로 구분하였다.

 

유사 개념 비교 설명

Raths 등이 제안한 가치명료화 모형, 한국교육개발원의 가치 탐구 모형, Krathwohl 등이 교육목표 분류학에서 제안한 가치의 내면화 과정은 가치가 개인적으로 내면화되는 과정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서로 유사점이 많거나 거의 일치한다.

 

참고문헌

김강희(2014) 가치명료화 교수모형을 적용한 유아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희경(2014) 가치탐구모형에 기초한 환경친화적 유아 소비자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조용개(2009) 가치분석적 접근을 통한 환경윤리교육의 교수-학습 모형 개발, 교육학논총, 30(2), 19-39.